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국민의힘이 24일 총선 비례대표 당선권인 후보순위 20위 이내에 25%(5명)를 호남지역에 배정키로 당규를 개정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개최한 제1차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취약지역 인사를 비례대표 후보순위 20위 이내에 4분의 1 규모로 우선 추천하게 하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자 추천 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는데, 이는 오는 2024년 실시될 22대 총선부터 적용될 방침이다.
앞서 지난 21대 총선에서도 호남의 경우 광주는 득표율이 3.2%, 전북 5.7%, 전남 4.2% 등 모두 정당 득표율이 15% 미만인 취약지역으로 분류됐는데, 이번 당규 개정의 의의에 대해 국민의힘에선 “전통적인 당 약세지역이었던 호남지역을 배려하고자 하는 비상대책위원회의 의지”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비대위는 이번 당규 개정을 계기로 국민통합의 초심을 잊지 않고 진정으로 호남과 동행하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국민 여러분께 보여드릴 각오”라고 강조했는데, 앞서 김종인 비대위원장도 보수정당 대표 중 최초로 직접 광주에 있는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를 한 데 이어 호남 출신인 정운천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국민통합위원회를 출범시켰으며 해당 위원회는 지난해 10월 14일 열린 첫 회의에서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당선권 25%를 호남 출신에 배정하는 내용을 당헌당규에 명문화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이번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 규정 개정은 차기 대선을 통해 정권 교체를 이루기 위해 전국정당을 지향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지도부의 속내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데, 문제는 정당 지지율에 있어선 호남 민심의 변화가 크게 감지되지 않고 있어 어느 정도 효과를 낼 것인지는 미지수인 실정이다.
실제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가 데일리안의 의뢰로 지난 21~22일 전국 성인 남녀 1020명에게 조사해 24일 발표한 2월 4주차 정당 지지율 집계 결과(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일단 4·7보궐선거가 열리는 서울과 부산·울산·경남에선 각각 30.1%와 31.7%를 기록하면서 더불어민주당과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지만 호남지역(전남·전북·광주)에선 여당이 55.7%로 과반을 기록했으며 국민의힘 지지율은 그간 김 위원장의 ‘서진 노력’에도 불구하고 9.3%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