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11일 열린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속죄양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떨칠 수 없다”면서 “보다 높은 차원의 권력 실세가 아니면 신정아 씨가 비상식적인 특혜를 받을 수 없다”고 배후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안 원내대표는 “신정아 게이트 진상조사단과 검찰의 수사가 다르고 미흡할 경우 국정조사와 특검으로 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권력형 비리 의혹에 대한 특검과 국정조사 추진의사를 밝히며 청와대를 압박해 나갔다.
한나라당 홍준표 권력형비리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2일 특위 첫 회의에서 “신정아, 정윤재 게이트뿐만 아니라 밝혀지지 않은 권력형 비리가 또 있다고 들었다”며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문제되는 권력 비리도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논평에서 “검찰은 ‘신정아의 배후’가 변 전 실장이었다는 선에서 수사를 끝내려 해서는 안 된다”며 “변 전 실장은 노무현 정부 들어 예산처장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승승장구했고 여기에는 이해찬 전 총리가 한몫 했다는 얘기도 있고 노 대통령의 신임도 누구보다 두터웠다”고 말했다.
커지고 있는 불씨에 대통합민주신당이 부채질을 하기 시작했다. 대통합민주신당 김효석 원내대표는 12일 한나라당이 신정아씨 권력비호 의혹과 관련해 특검을 요구하고 있는데 대해 “검찰이 철저하게 수사를 하고 미진하면 특검도 해야 한다”며 “(한나라당으로부터) 특검 요청이 오면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이번 사건은 임기말 청와대 공직기강시스템의 문제로서 정당의 입장에 차이가 없으며, 덮을 이유도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한나라당이 이 문제를 갖고 정쟁으로 몰아가려는 것은 안된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한편, 신정아씨와 변양균 전 실장 사건과 관련 ‘몸통’ 의혹을 받고 있는 대통합민주신당 이해찬 경선후보는 “한나라당이 어떻게 신정아와 저를 엮어볼까 아니면 변양균과 저를 엮어 볼까 하는데 이는 옳은 태도가 아니다”며 “변양균 전 실장은 내가 (민주당) 정책위의장 시절 정부에서 파견됐던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다 돌아갔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