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근무경력 1년 이상 직장인 2천57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26일부터 10월2일까지 설문조사한 바에 따르면, 입사당시와 비교해 볼 때 국어사용능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68.1%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국어사용능력이 낮아졌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인터넷 메신저 대화로 인한 비문(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의 일상화’가 48.1%로 가장 많았다. ‘국어보다 영어를 중시하는 풍조’는 21.1%,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 작성’ 20.7%, ‘구두나 서면 등의 보고체계 간소화’ 9.1% 순이었다.
입사당시와 비교해 볼 때 업무상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높아진 부분을 묻는 질문에는 26.2%가 ‘이메일’을 꼽았으며, ‘인터넷 메신저’도 23.8%를 차지해 전체 응답자의 50.0%가 온라인으로 주요 업무를 처리하고 있었다. ‘직접대면’은 22.1%, ‘지면서식’ 14.2%, ‘전화’ 13.7% 이었다.
평상시 외래어나 외국어의 사용빈도에 대해서는 ‘사용빈도가 매우 높다’는 의견이 23.5%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용어나 축약어 등의 사용빈도가 매우 빈번하다는 응답은 22.6%로 조사됐다.
국어능력 중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능력은 ‘표현능력(쓰기/말하기)’이 29.1%로 가장 많았고, ‘문법능력(어휘력/문법)’ 28.3%로 뒤를 이었다. ‘창안능력(창의적 언어 능력)’ 23.9%, ‘국어문화능력(국어 교과의 교양적 지식)’ 12.3%, ‘이해능력(듣기/읽기)’는 4.9% 이었다.
국어와 관련된 업무능력 중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능력으로는 ‘기획안/보고서 작성능력’이 절반에 가까운 41.0%를 차지했다.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26.9%, ‘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25.0%, ‘이메일 문안 작성 능력’ 5.3% 이었다.
국어 능력이 가장 필요할 것 같은 직무 분야는 ‘기획/홍보직’ 37.7%, ‘마케팅/영업직’ 27.8%, ‘고객상담직’ 19.7%, ‘인사/총무직’ 7.9%로 순이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