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왕릉, 유적지의 숲속 단풍 길로 초대
궁궐, 왕릉, 유적지의 숲속 단풍 길로 초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 단풍시간표 발표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가을의 정취를 흠뻑 느낄 수 있는 궁궐, 왕릉, 유적지의 숲속 단풍 길로 국민을 초대한다.

문화재청은 그간 조선조 궁궐과 왕릉, 현충사 등 유적지의 건축물 뿐만 아니라 주변의 숲 경관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가꾸어 왔다.

그동안 산불의 위험 등 여러 가지 보존관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역사적인 정원과 숲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문화재청은 최근 문화유산과 역사 환경의 가치를 모든 국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유적지내 숲길을 개방하기 시작했다.

30여 년 동안 굳게 닫혔던 창덕궁 후원 옥류천 지역을 2005년 5월에 개방한 것이나 왕릉에 산책길을 만들어 지역주민들이나 관람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이러한 유적지 개방정책에 일환이었다.

문화재청은 가을철을 맞아 유적지의 관람객들이 아름다운 단풍과 함께 가을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산책로의 낙엽을 치우지 않으면서 관람객들에게는 도토리·밤 같은 산열매는 다람쥐와 같은 산짐승에게, 산수유와 같은 과실은 산새들에게 양보하는 배려가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모든 유적지의 산책로를 거닐어 보기를 권하지만 특히 다음 몇 개의 아름다운 단풍 길을 소개한다.

한국 최고의 명원 창덕궁 후원

▲ 창덕궁 후원입구의 단풍.
도심의 큰 생태 축을 이룰 뿐 아니라 선비의 절개를 지켜주는 마음의 지주 회화나무, 왕비가 양잠으로 활용하였던 뽕나무, 선조가 도토리묵을 좋아하여 늘 수라상에 올랐다하여 불러진 상수리나무, 천연기념물로 국내에서 유일한 다래나무, 한국 고유의 단풍나무들이 곱게 치장한 단풍은 설악산·내장산의 단풍보다 그 색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임금이 휴식하였던 정자와 연못이 함께 어울려져 전국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매력적인 경관미를 가지고 있다.

조선 태조 건원릉이 있는 동구룽(경기도 구리시)

함흥에서 가져온 건원릉의 억새, 60여 만평에 오랜 세월을 담고 있는 노송과 느티나무, 굴참나무, 가을야생화, 넓은 황금빛 잔디 등이 함께 단풍융단을 만들어 내어 전형적인 왕릉의 가을풍경을 보이고 있다.

조선 세조 광릉(경기도 남양주시)

천연기념물 크낙새 서식지와 함께 조선시대부터 숲을 만들고 가꾼 국내 최고의 명품 숲으로 몇백년씩 묵은 아름드리 전나무와 소나무 그리고 각종 활엽수가 서로 얼기설기 하면서 울긋불긋 한 색깔로 길을 에워싸면서 수를 놓아 가을의 풍경을 더욱 고고하게 만들어 드라이브와 데이트 장소로 최적의 장소로 칭송받고 있다.

조선 세종대왕 영릉(경기도 여주군)

진입로를 따라 펼쳐진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길과 세종릉 숲과 효종릉 숲을 연결하는 산책로에는 진달래, 단풍나무, 갈참나무 등 가을단풍의 진객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색색이 고운 물이 들어 있다. 효종릉 재실 주변에는 감국 등이 흐드러지게 피어 가을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조선 숙종 명릉이 있는 서오릉(경기도 고양시)

왕보다는 왕비가 더 많이 모셔져 있는 곳이라 단풍들도 여인네처럼 형형색색의 빛깔이 더욱 곱게 발하여 아름다운 장관을 연출한다. 2킬로미터 짜리 산책로와 4킬로미터 짜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는데 산책로 주변에 가득채운 단풍의 향기는 코를 진동하고 한걸음 한 걸음씩 낙엽 밟는 소리는 아름답게 노래하는 새소리와 함께 운치를 더하여 준다.

덕수궁과 조선 성종 선릉의 야경

이곳의 단풍 야경은 서울의 명품이다. 밤 9시까지 개방하여 도심속의 가을 단풍의 아름다움을 야간에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밖의 궁궐과 왕릉에서는 낙엽밟기 외에도 단풍 숲과 함께 백일장, 사진전, 시화전, 풍수이야기, 왕실문화탐방, 무형문화재공연, 결혼이민자 초청행사 등 가을철 단풍맞이 행사를 다채롭게 꾸며 국민들을 초대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