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시치미 뚝 vs 검찰 철퇴’ 맞섰다!
‘李 시치미 뚝 vs 검찰 철퇴’ 맞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경준 공습에 벼랑 끝 내몰린 이명박 갈팡질팡 속내

▲ BBK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설이 나돌고 있는 이명박 후보가 BBK 불길잡기에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맹철영 기자>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벼랑 끝에 내몰렸다. 이회창 한나라당 전 총재 대선출마라는 뇌관에 ‘BBK 너울’까지 거세게 휘몰아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후보의 걱정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최근 역학자들 사이에서 ‘이명박 10월(음력) 쇠고랑설’이 떠도는데다 검찰이 특별수사팀을 구성, 이번 사건에 철퇴를 휘두르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미국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김경준의 국내 조기송환은 미 국무부가 한국의 대선정국에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소문도 들린다.

한나라당은 김씨 송환에 따른 후폭풍을 두려워하면서도 겉으로는 태연한 척하고 있다. 대통합민주신당은 BBK 의혹을 ‘이명박 지지율 끌어내리기’의 최대 카드로 보고 이 후보를 압박하고 있다. 수세에 몰린 이 후보는 제17대 대통령에 당선되면 “대통령직을 걸고 책임지겠다”며 명명결백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 주간지가 김씨의 주가조작의 핵이 된 옵셔널벤처스에 “MB 방이 있었다”는 사실까지 터뜨려 이 후보를 더욱 궁지에 몰아넣고 있다.

하지만 정가에서는 이 후보의 의혹이 드러나더라도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야당의 대선후보에게 검찰이 칼을 들이대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BBK, 차명재산 의혹 등으로 도덕성에 큰 상처를 입고 있는 이명박 후보가 BBK 진화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한번 타오른 ‘김경준 불길’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화오리바람 때문에 좀처럼 꺼지지 않고 있다.

BBK 의혹 밝혀져도 후보 사퇴 못해

이명박 후보가 BBK 주가조작 의혹에 시달리고 있다. 이는 이 후보 스스로 ‘호박씨’를 깠기 때문이다. 이 후보는 그동안 김경준 조기 송환을 입으론 누누이 내뱉으면서도 속으론 송환 연기라는 자충수를 두었다.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후보가 아무리 시치미를 잡아떼도 거세게 덮치는 ‘BBK 너울’을 막아내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 후보가 최근 “대통령이 되더라도 (나에게) BBK와 관련된 문제가 있다면 직을 걸고 책임지겠다”고 밝힌 것도 정치권에 떠도는 ‘BBK=이명박 낙마론’을 잠재우기 위해서다.

“내가 뭐가 답답해 주가조작을 하는데 끼어들겠느냐. 간단한 문제이고 나는 관련이 없다. 있다면 피해를 본 5천여명의 주주들이 왜 나를 가만히 두겠느냐. 상식적으로 판단해 보면 알 텐데 정치인들이 왜 거기에 끼어들어 자꾸 이렇게 하느냐”

이 후보가 BBK 의혹에 대해 이토록 발뺌을 심하게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후보의 주장처럼 정말 BBK는 “간단한 문제이고”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일까. 이 후보가 “없는 얘기를 자꾸 만들면 우리도 법적으로 대응해야 하지 않나 싶다”라고 말하는 속내에는 어떤 거짓과 진실이 숨겨져 있을까.

이 후보는 BBK 사건 ‘태풍의 눈’ 김경준씨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검찰이 공정하게 법 집행을 해 달라고 부탁드리고 싶다”며 검찰을 압박하고 있다. BBK 열쇠는 여기에 있다. 이 후보가 BBK 의혹으로부터 정말 자유롭다면 ‘검찰 공정 법집행’ 이란 말을 내뱉을 까닭이 없지 않겠는가.

범여권의 한 관계자가 “이 후보가 검찰의 ‘공정 법집행’을 강조하는 이유는 BBK로부터 스스로 떳떳하지 않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다. 요즘처럼 밝은 세상에 검찰이 야당의 대통령 후보에게 없는 사실을 억지로 덮어씌울 수 있겠는가”라고 못박은 것도 이 때문이다.

오죽했으면 법을 훤히 꿰뚫고 있는 이회창 전 총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정말 정직하고 법과 원칙을 존중하는 지도자만이 국민의 신뢰를 얻고 국민의 힘을 모을 수 있다.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지만 정직하게 잘못을 인정하는 정신과 용기가 있다면 국민은 신뢰할 것이다”며 이 후보에게 은근슬쩍 한 수 가르쳐 주었겠는가.

이 후보의 도덕성 시비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 후보는 ‘다스’ 실소유 의혹과 관련 ‘실소유주로 밝혀지면 후보직을 사퇴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도 즉답을 피한 채 “청와대와 국세청이 끼어들고, 국세청은 제 주위 사람 97명을 수백 회나 다루는 등 샅샅이 뒤졌다”며 말꼬리를 돌렸다.

이는 이 후보가 BBK 의혹이나 다스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도 검찰이 야당의 대선후보에게 ‘쇠고랑’을 채우지는 못할 것이라는 자신감에 따른 것이다. 아울러 아무리 도덕성에 심각한 상처를 입어도 대선후보만은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이명박식’의 다른 표현이다.


美, 김경준 압류재산 해제


BBK 김경준(41)의 조기 송환과 미 법원이 압류했던 김씨의 재산 일부를 풀어준 것에 대해 미국의 국내 대선개입이라는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미국 연방지방법원은 최근 김씨 측이 한국에서 변호사 비용을 낼 수 있도록 압류재산 가운데 40만달러(3억6천만원)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 법원은 김씨의 나머지 2천5백60만달러(2백31억원)의 압류는 해제하지 않고 있다.

미 법원은 “민사소송이 항소심에 계류 중인 데다 ㈜다스 등 원고 측이 승소할 가능성이 있어 피고측(김경준씨측) 재산 압류를 모두 해지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한나라당 한 관계자는 “짜고 치는 고스톱을 보는 것 같다”며 미국의 국내 대선 개입 가능성을 내비쳤다.

정치권 한 관계자도 “국내 대선에 가만있을 미국이 아니다. 이번 대선에서 제17대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미국의 한반도정책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며 “BBK 주가조작 의혹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미국이 김경준 조기 송환과 김씨의 압류된 재산 일부를 해제한 것은 김씨에게 무언의 암시를 준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BBK 주가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이 후보로서는 김경준이라는 엄청난 지뢰밭을 미국으로부터 선물 받은 셈이 된다. 게다가 김씨의 입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이 후보 BBK 주가조작설보다 훨씬 더 큰 X-파일이 튀어나올 수도 있다.


“옵셔널벤처스에 MB 방 있었다”


이명박 후보의 BBK 주가조작 의혹 사건이 검은 베일을 하나 둘 벗어던지고 있다.

이 후보가 손해를 입었다며 김경준씨를 상대로 미국 법원에 낸 7개의 소장이 최근 <한겨레21>에 의해 공개됐다.

이 소장은 이 후보의 ‘집사’로 불리는 김백준(전 LKe뱅크 이사)씨가 이 후보로부터 위임을 받아 지난 2005년 4월29일 미 법원에 냈으며, 이 후보측은 잇따라 여섯 차례에 걸쳐 소장을 낸 바 있다.

이 소장에는 “이명박과 김경준은 인터넷에 토대를 둔 은행, 투자, 보험 그리고 다른 금융 관계를 지닌 기업들의 그룹을 만들기로 합의했다. 이명박은 이름을 빌려주고 금융지원을 하고, 김경준은 매일매일 그러한 회사들을 운영하기로 합의했다”고 적혀 있다.

이 소장은 특히 LKe뱅크, BBK, MAF, EBK의 관계를 “이들 회사는 법률적으로 관련된 게 아니라, 자발적이고 협력적, 상호이익적 관계에 있었다”고 못박고 있다. 이는 이들 회사들이 법률적 관계는 아니지만 ‘물 밑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대략 2001년 4월18일까지 LKe뱅크의 이사진들인 이명박과 김경준, 김백준 세 사람이 BBK 사무실에 모여 여러 회사들(LKe뱅크, BBK, MAF, EBK)이 어떻게 굴러가고 있는지와 추가적인 투자가 모집, 증권 발행 계획 등을 검토하고 논의했다.”

이 소장에 적힌 내용을 보면 이 후보가 BBK 주가조작 사건에 직·간접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이 확실시된다. 이와 함께 이 후보가 BBK에 연루되었다는 또다른 증거도 있다. 이 후보의 서울시장 시절 비서를 지낸 이진영씨의 증언록이 그것이다.

이씨는 증언록에서 김씨의 BBK 주가조작 대상이 된 것으로 알려진 옵셔널벤처스코리아와 이 후보의 관계에 대해 “처음에 나는 이명박 회장과 김백준 부회장을 위한 방이 있었기 때문에 (우리와) 함께 두 사람이 올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명박 회장은 나오지 않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옵셔널벤처스코리아에 MB방이 있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 후보가 BBK 주가조작 사건에 연루됐을 가능성을 짙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검증청문회에서 “본 일도 없다”고 발뺌했다. 하지만 이씨는 BBK와 LKe뱅크, EBK 등과 관련 “모두 같은 회사는 아니지만 연관돼 있고, 내가 기억하는 한 사업에서 협력하고 있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검찰, BBK 김경준 특별수사팀 구성

검찰이 BBK 의혹 조사를 위한 ‘특별수사팀’을 구성, 한나라당과 이명박 후보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은 “김경준씨 사건과 대통합민주신당이 고발한 이 후보에 대한 증권거래법 위반 의혹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최재경 특수 1부장을 주임검사로 하는 특별수사팀을 편성했다”며 “특별수사팀은 특수1부 검사 2명과 금융조제조사1부 검사 2명, 첨단범죄수사부 및 형사부 검사 등 검사 6명과 수사관들로 구성됐다”고 밝혔다.

이는 정성진 법무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검찰이 다스의 제3자 소유 문제를 판단한 적이 있다”고 밝힌 데 따른 검찰의 발 빠른 움직임이다.

정 법무장관은 “다스가 제3자 소유라고 검찰이 판단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 “그런 취지로 (판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정 장관은 이와 함께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후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받았느냐”는 물음에는 “구체적이지 않다”고 발뺌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한나라당이 경선을 하고 있던 지난 8월 검찰이 다스와 다스의 협력업체를 압수수색한 사실이 추가로 확인됨으로써 검찰이 이미 이 후보 의혹에 따른 어떤 심증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대자동차 부품협력업체인 다스의 지분은 이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가 48.99%, 이 후보의 큰형 이상은씨가 46.85%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해 정치권 한 관계자는 “다스는 명의만 다를 뿐 실제 소유주는 이 후보가 아니겠느냐”라며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후보인 것으로 밝혀진다면 이 후보는 ‘3천만원 이상의 주식은 행정자치부의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에 신고해야 한다’는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 것이 된다”고 말했다.

지금 대통합민주신당은 옵셔널벤처스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 이명박 후보를 증권거래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해 놓은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