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진보VS범보수 양강구도, 막판 3대 승부수
범진보VS범보수 양강구도, 막판 3대 승부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회창 ‘박근혜 손 잡고’…정동영 ‘文.李.權 둥지 내주고’

▲ 범진보진영과 범보수진영의 팽팽한 기싸움으로 흘러가고 있는 제17대 대선정국은 지금 단일VS단일, 단일VS다자, 다자VS단일, 다자VS다자 구도를 놓고 물밑 신경전이 한창이다.
제17대 대선정국의 중심축은 범진보진영과 범보수진영의 양강구도다. 하지만 이번 대선은 사상 유례없이 많은 후보들의 난립으로 ‘1강 2중 다약’ 구도로 흘러가고 있다. 따라서 대선을 판가름할 가장 큰 변수는 후보단일화에 따른 지지율 변화다.

범여권 후보단일화와 지지율은 한나라당 이명박 대선후보의 목줄을 죄고 있는 ‘BBK’의 진실이 어디까지 밝혀지는가에 달려 있다. 지지율 1, 2위를 독차지하고 있는 범보수진영 또한 이명박 후보와 무소속 이회창 후보의 지지율 변화가 최대의 분수령이다. 두 후보의 물고 물리는 전면전은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의 ‘선택’에 따라 막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지금 대선정국은 ‘1강 2중’ 구도가 좀처럼 깨지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 이명박, 무소속 이회창,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그들이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민주당 이인제, 국민중심당 심대평, 참주인연합 정근모, 국민연대 이수성 후보도 ‘마이너리그’에서 ‘메이저리그’로 올라서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특히 이들 ‘마이너리그’ 후보들은 BBK의 향방과 후보단일화 여부에 따라 ‘정책연합’ ‘전략적 지지’라는 말을 앞세워 ‘이합집산’할 가능성이 높다. 범여권에서는 정동영 후보가 ‘당권분리’ ‘연립정부’ 등을 내세워 문국현, 이인제, 권영길 후보를 어떻게 끌어안느냐가 핵이다. 하지만 이인제 후보는 ‘독자생존론’을 내세우고 있고, 권영길 후보는 아예 관심조차 없다는 투다.

범보수진영에서는 이명박 후보가 이회창 후보를 끌어안는 것이 최대 희망이지만 이회창 후보는 한나라당 곽성문 의원과 한나라당 상임고문을 지낸 박찬종 전 의원까지 끌어안으며 기세가 등등하다. <시사신문>은 혼전이 계속되고 있는 제17대 대선정국을 ‘단일VS단일’ ‘단일VS양자’ ‘다자VS다자’라는 4가지 시나리오로 구성, 제17대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해부한다.

제17대 대선의 특징은 12명의 대선후보 중 어느 후보가 막판까지 갈 것인가를 점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게 얽혀 있다. 지금은 ‘1강(强) 2중(中) 다약(多弱)’ 구도로 흘러가고 있지만 각 후보들의 지지율 변화에 따라 합종연횡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어 최종 대결구도가 어떻게 판가름 날지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대선 승부처는 단일화

2007 대선은 BBK와 지지율 변화에 따른 범진보와 범보수의 후보단일화 여부에 따라 최종주자가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 총선을 겨냥, 12명의 후보 모두 대선에 출마할 가능성과 함께 일부 후보는 단일화되고 일부 후보는 독자적인 길을 고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번 대선은 크게 ‘단일VS단일’ ‘단일VS양자’ ‘다자VS다자’라는 3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가 선택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대선의 가장 큰 꼭지점은 지지율이다. 따라서 지지율이 높은 후보가 지지율이 낮은 후보를 향해 선거운동 기간 내내 단일화를 위한 사퇴 압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짙다. 이와 함께 지지율이 낮은 후보들은 지지율이 높은 후보들이 내미는 ‘총선지분권’ ‘당권분리’ 등 ‘달콤한 사탕’에 의외로 쉬이 후보단일화에 동의할 수도 있다.

범여권 일각에서 문국현, 이인제, 권영길 후보를 단일화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연립정부’ ‘정책연합’ 등의 말이 떠도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번 대선의 이슈는 범여권 후보단일화다. 현재의 지지율로 보면 정동영 후보가 가장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 있다. 하지만 문국현, 이인제, 권영길 후보도 독자노선을 탄탄하게 굳히고 있어 정동영 후보로의 단일화는 쉽지 않아 보인다.

범여권 1强2중多弱 깨기 위한 비상 처방, ‘합종연횡’
양강구도, 범여 후보단일화 정동영, 文·李·權 품는다

하지만 막판에 범진보진영에서 ‘대권헌상론’ ‘정권재창출 실패’에 따른 책임론 등이 쏟아지기 시작하면 범여권에서는 지지율이 가장 높은 후보에게로 막판 후보단일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동영 후보와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가 ‘정치 민주화를 넘어 경제 민주화’란 기치를 내걸고 정 후보의 표밭인 호남 민심 움직이기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 후보 측 한 관계자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영남권에서는 정동영 후보에게 (문국현 후보가) 앞서고 있고 충청권도 선전중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 후보에게 상대적으로 열세지역인 호남에서 ‘국정책임론’ ‘리더십 부재’ 등을 앞세워 표밭을 공략하면 정 후보를 앞지를 수도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범보수진영의 이명박, 이회창 후보도 지지율 때문에 고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박근혜 전 대표 또한 BBK와 상관없이 지지율 추이에 따라 한 후보를 선택, 본격적인 유세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회창 후보가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을 따라잡고 범보수 독자후보로 나서느냐가 정가의 가장 큰 관심거리다.

단일후보VS 단일후보

범여권에서 단일후보를 내고, 범보수진영에서도 단일후보를 내 대선을 ‘진보VS보수’ 양강구도로 치르는 시나리오다. 1 대 1 양강구도로 가게 되면 범여권과 범보수의 지지율 대결은 49 대 51로 굳어질 공산이 크다. 이는 양자대결 구도로 치러진 2002년과 1997년 대선 때 벌어진 3%대 초접전 양상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문제는 수도권이다. 현재 수도권 표는 이명박 후보에게 쏠리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 표는 ‘BBK 핵폭탄’이 차명재산 의혹, 자녀 운전기사 위장취업 등으로 얼룩진 이 후보의 도덕성에 큰 상처를 입히게 되면 범여권으로 일부 옮겨올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범여권 단일후보가 마의 3%대를 차지해 대권을 거머쥘 수가 있다. 반대로 ‘BBK 의혹’이 ‘빈껍데기’에 불과하게 되면 ‘쏠림현상’이 일어나 범보수 후보가 큰 표 차이로 승리할 수 있다.

1 대 1 진검승부가 펼쳐질 경우 현재로서는 정동영, 이명박 후보 사이의 양자 대결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하지만 정 후보가 끝내 ‘친노파’를 끌어안지 못해 지지율이 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문국현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하게 되면 문 후보가 범여권 단일후보가 될 수도 있다.

범보수도 마찬가지다. 이명박 후보가 ‘도덕성’ 시비에 휘말려 지지율이 계속 떨어지고, 한나라당 탈당 의원과 보수우파 세력을 결집한 이회창 후보의 지지율이 계속 오르게 되면 박근혜 전 대표도 이회창 후보의 유세를 도울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함께 이회창 후보의 지지율이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을 앞서게 되면 ‘잃어버린 10년 되찾기’와 ‘대권 책임론’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이명박 후보가 사퇴하면서 이회창 후보의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다.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보수진영 단일후보로 이명박 후보, 범여권 단일후보로 정동영 후보가 나설 경우 이 후보가 53.9%, 정 후보가 22.7%로 나타나고 있다.

단일후보VS 양자후보

범여권이 ‘당권분리’ ‘연립정부’를 내세우며 선거연합에 나서면서 단일후보를 내고, 범보수진영의 이명박, 이회창 후보가 끝까지 맞붙는 3파전이다. 이는 범진보진영과 범여권이 학수고대하는 최고의 희망사항이다.

이번 대선정국이 이처럼 ‘30대 30대 30’이란 분할구도로 가게 되면 범보수보다 범여권이 대권을 거머쥘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하지만 이 3파전에서도 범여권 단일후보의 지지율이 30%를 넘어서지 못하게 되면 2강(이명박 이회창)1약(정동영) 구도가 된다.

그렇게 되면 범보수진영에서는 ‘이명박 사수론’과 ‘이회창 대안론’을 내세우는 ‘집안싸움’으로 변질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범여권 단일후보는 범진보진영의 표를 결집시키면서 범보수진영의 ‘집안싸움’에 따른 이탈표와 부동표를 흡수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

3자구도, 이명박VS정동영VS이회창 BBK 대권 좌우
다자구도, 범진보진영 ‘정권재창출’ 실패=총선 패배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정동영 후보가 범여권 통합후보로 나서 이명박, 이회창 후보와의 3자대결을 벌일 경우 이명박 39.5%, 정동영 26.3%, 이회창 21.1%로 정 후보는 2위로 조사됐다. 하지만 3자 대결에서 정 후보가 이회창 후보보다 5.2%나 앞서는 것으로 조사돼 이명박 정동영 양강구도로 굳어질 수도 있다.

문제는 40%대를 오락가락하는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이다. 이명박 후보 지지층 가운데 72.2%는 검찰 조사에서 이 후보가 BBK 실소유주로 밝혀진다고 해도 ‘계속 지지하겠다’고 답했고, 지지 철회 의사를 밝힌 비율은 23.4%였다.

이 경우 이명박 후보의 지지도는 31.8%로 하락하고 이회창 후보와 정동영 후보는 각각 24.0%와 20.4%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BBK 뇌관’이 대권 향방에 중요한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수치다.

다자후보VS 다자후보

범여권이 막판까지 단일후보를 내지 못해 4명(정동영 문국현 이인제 권영길 후보)의 후보가 모두 완주하고, 범보수진영도 이명박 이회창 두 후보가 끝까지 맞붙는다는 시나리오다. 범진보진영과 범여권이 가장 우려하는 구도가 이 ‘다자VS다자’ 대결이다.

이는 현재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50%를 넘고 있고, 이명박 이회창 두 후보의 지지율을 합치면 60%가 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자VS다자’ 구도가 되면 범여권은 범보수진영에게 정권을 ‘그저 내주는 것’이 된다.

범여권이 이처럼 범보수진영에게 정권을 내주게 되면 범여권의 세 후보는 ‘대권 헌상론’ ‘정권 재창출 실패’라는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와 함께 범보수진영이 분열에 분열을 거듭하면서 내년 ‘총선 대패’로까지 이어질 수밖에 없다.

DJ와 재야 원로들이 정파간 계파간 ‘이해득실’을 따지지 말고 한 운동장에 모여라고 강력하게 주문하고 있는 것도 이 ‘대권 헌상론’ 때문이다. 따라서 범여권 후보들은 지지율 추이를 지켜보며 서로 힘겨루기를 계속하다가 막판에 극적인 후보단일화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범보수진영과 한나라당은 ‘자중지란’을 몹시 경계하면서도 은근히 ‘다자VS다자’ 구도를 바라는 눈치다. 이는 지지율을 모두 합쳐도 20%대 중반을 겨우 웃도는 4명의 후보를 낸 범여권보다 2명의 후보를 낸 범보수진영이 표싸움에서 훨씬 유리한 고지에 올라설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명박 이회창 두 후보의 완주 여부는 BBK가 ‘키’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BBK 의혹으로 인해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이 흔들릴 경우 ‘보수 대안론’ 속에 이회창 후보의 완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