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보도했던 기자, 언론 '모르쇠' 일관
BBK 보도했던 기자, 언론 '모르쇠' 일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협, "사실 인정'이 추락하는 언론 신뢰도 회복할 길"


한국기자협회(회장 정일용)는 10일 성명문을 통해 비비케이(BBK) 검찰 발표와 배치되는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들의 침묵을 질타했다.

기협은 이명박 후보의 비비케이 의혹에 대해 당시 이씨를 인터뷰했던 언론들이 이제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몇 년 전에는 ‘내가 비비케이 대주주이자 경영진’이라는 이명박 씨의 발언을 만천하에 알려놓고, 이제와서는 ‘나는 비비케이와 관련없다’는 이씨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받아 적고 있다"며 이것이 ’우리 언론의 부끄러운 자화상‘이라고 개탄했다.

기협은 이어 과거 비비케이 관련 언론 보도 내용을 낱낱이 공개했다.

■ 중앙일보 2000년 10월 14일자로 보도 내용을 보면 "LKe 뱅크가 이미 설립돼 있으며 그 아래 종합자산관리 전문회사인 BBK란 자회사도 영업 중에 있다. 물론 이들 회사에서 이(명박) 전의원은 대주주로서 경영에도 참여하고 있다." 기사는 이명박 씨가 BBK의 대주주이고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는 이명박 씨의 발언을 그대로 옮겨 실었다.

이틀 뒤 중앙일보는 또 이씨의 발언이라며 "이미 새로운 금융상품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엘케이이(LKe) 뱅크와 자산관리 회사인 비비케이를 창업한 바 있다"고 인용해 보도했다.

■ 동아일보는 같은 날 "이(명박) 대표가 꼽는 흑자비법은 아비트리지(차익) 거래. 미국계 살로먼스미니바니에서 99년 초 연 수익률 120% 대를 기록한 김경준 비비케이 투자자문사장(34)을 영입했다. <중략> '김사장은 지난해 BBK 설립 이후 한국 증시의 주가가 60% 빠질 때 아비트리지 거래로 28.8%의 수익률을 냈다'고 소개하면서 연방 김사장의 어깨를 토닥였다"고 보도했다. 경영수완 자랑하는 경영자 모습의 이 후보 행동거지 하나하나를 상세히 기록한 것이다.

■ 중앙 이코노미스트는 2000년 10월31일 보도에서 "이 3각 축(엘케이뱅크, 비비케이, 이비케이)이 내 포부를 달성시키는 산실이죠"라며 이명박씨의 발언을 인용 보도했다.

■ 월간중앙은 "지난해 초 벌써 비비케이라는 투자자문회사를 설립해 펀드를 묻고 있는 상태입니다(2000년3월호)."라고 기록해 놓았다.

■ 비비케이 투자회사 심텍이 2001년 11월 이명박과 김경준을 사기죄로 고소한 이후 보도에서 머니투데이(2001.11.6)는 김경준 씨와 알게 된 경위에 대해 "미국에서 돌아와 지난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회사인 이뱅크코리아(EBK)를 설립할 당시 김경준이 지분을 출자하면서 알았다"는 이명박 씨 발언을 인용 하면서 "비비케이 자료에 따르면 이 전회장과 김 전대표는 각각 BBK회장과 사장으로 명기돼 있다"고 밝혔다.

■ 2000년 11월 당시 문화방송 박영선 기자(현 대통합민주신당 국회의원)는 비비케이 회장실에서 이씨를 인터뷰까지 했다.

기협은 이같은 확실한 보도 내용을 낱낱이 밝힌 뒤에 검찰의 발표대로 비비케이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씨라는 근거가 없다면 ‘위의 기사를 보도한 당시 언론들은 ’꿀 먹은 벙어리‘처럼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협은 그런 기사를 보도한 언론들이 나서서 ‘검찰 수사결과만 나발 불기 바쁘니 자기 입으로 오보라고 외치고 있는 꼴’이라고 논평했다.

또한 기협은 「이명박 후보의 도곡동 땅 처남 명의 은닉」과 관련된 의혹에 대해서도 ‘세계일보(93.3.27)를 비롯해 한국일보(93.9.17), 국민일보(93.3.24)등이 보도한 바 있다’며 보도 내용을 밝혔다.

■ 세계일보는 "85년 현대건설 사장 재직 때 구입한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시가 150억 원 상당의 땅을 처남 명의로 은닉한 사실이 26일 밝혀졌다"

■ 한국일보는 "이명박 의원 역시 1차의 62억 원에서 274억 원으로 늘려 등록한 데다 소유부동산이 대표적인 투기지역인 강남구 서초동의 금싸라기 땅이어서 주목의 대상"

기협은 이명박 후보에 대한 과거 보도는 대선 후보를 검증하는 유력한 자료라며 ‘언론은 검찰의 수사발표와 무관하게 사실여부를 밝힐 의무가 있고, 그 보도를 접했던 독자와 시청자, 유권자들은 사실을 알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기협은 끝으로 이명박 의혹과 관련된 기사를 쓴 기자와 보도한 언론사는 ‘사실이면 사실, 아니면 아니라’고 분명히 밝히는 길만이 ‘추락할 대로 추락한 언론 신뢰도를 그나마 끌어 올리는 길’이라고 역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