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문학작가회의는 지난 8일 서울 사간동 출판문화회관에서 백낙청, 신경림, 현기영, 도정일씨 등 회원 1백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기총회를 열고 단체 명칭을 ‘한국작가회의’로 바꾸는 내용의 정관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20년 만에 ‘민족’ 수식어 떼고 한국작가회의 새 출발
이로써 민족문학작가회의는 20년 만에 ‘민족’이라는 단어를 떼고 ‘한국작가회의’로 새롭게 출범하게 됐다. 1974년 자유실천문인협의회에서 1987년 민족문학작가회의로 이어지는 진보적 문인단체의 계보가 새 시대를 맞게 된 것이다.
민족문학작가회의는 그동안 ‘민족’이라는 이름이 극우 또는 좌파 단체라는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내홍을 겪어야 했다. “한국문학이 세계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민족’이라는 단어가 문학의 영토를 국한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 “세계의 고정된 시선 때문에 우리가 추구하는 ‘민족’을 포기할 수 없다. 우선 세계에 나서서 우리의 민족문학을 알리는 것이 우선이 아니냐”는 의견이 상충했다.
올해 초부터 이와 관련한 문제들이 수면위로 떠오르기 시작했으며 지난 2월에는 명칭변경과 관련해 회원들의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위해 ‘명칭변경소위원회(위원장 도종환)’가 결성됐다.
이후 회원들의 명칭 변경에 대한 찬반 투표, 어떤 명칭으로 개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거쳐 ‘한국작가회의’로 가닥을 잡게 된 것이다.
한국작가회의는 이날 ‘출범 선언문’을 통해 “아시아·아프리카 작가들과의 교류가 시작됐고, 이주 노동자, 결혼이민 여성이 우리의 가족이 돼 가는 현실 속에서 우리의 문학적 관심이 민족 내부의 문제에만 머물러 있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명칭 변경 이유를 들었다.
이어 “한국작가회의로 이름을 바꾸는 것은 우리가 명실상부하게 한국의 문학을 대표하는 문인들이 모여 있는 단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회원들 사이에 제기되던 ‘민족문학의 포기’에 대한 우려와 관련 “자유실천문인협의회와 민족문학작가회의의 정신과 역사를 온전히 계승한다. 민족문학의 정신을 포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응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민족문학 정신 포기 아니라 창조적 쇄신하자는 취지
김형수 사무총장은 “시대 변화에 따라 단체 이름도 자연스럽게 변하는 것”이라고 말했으며 문학평론가 도정일씨는 “우리 사회가 다문화·다민족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에서 더욱 포괄적인 의미의 명칭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총회에선 도종환 시인이 차기 사무총장으로 선임됐다. 도 시인은 “문학이 제 자리를 찾는데 미약하게나마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신임 이사장직에는 김지하 시인이 내정됐으나 김 시인이 신병을 이유로 고사, 내년 3월 다시 결정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