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핵심 인사 줄소환 초읽기
삼성 핵심 인사 줄소환 초읽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들을 두드리면 ‘판도라 상자’ 열릴까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 수사가 삼성의 심장부를 정조준한 모양새다. 특별검사(조준웅) 수사팀이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는 그룹 핵심 고위층의 본격적인 소환조사에 돌입했다. 소환 대상자는 일단 계열사 일부 임원들에게 맞춰진 상태다. 하지만 수사가 진행되면서 김용철 변호사가 비자금 관리자로 지목한 이른바 ‘68인의 핵심 임원’에 대한 전방위 수사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김 변호사는 이미 이들의 명단을 특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리스트에는 누가 거론되고 있을까.

김용철 주장한 비자금 관리자 ‘68인’ 리스트 누가 올랐나
언론 통해 “전기실 비자금 계획, 계열사 할당” 주장 파문

▲ 삼성비자금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조준웅 특별검사 수사팀이 삼성그룹 핵심 임원들에 대한 줄소환을 예고하고 있다. 출석을 요구받은 삼성 임원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건희 회장과 이학수 부회장의 직접 소환조사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검팀 안팎에서는 수사 초기(16일 현재)임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직접 소환조사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이미 검찰 수사를 통해 차명계좌나 비자금 의혹의 윤곽이 어느 정도 파악된 만큼 소환시기가 문제일 뿐, 삼성 오너에 대한 직접 조사가 불가피하지 않겠느냐는 분위기다.

하지만 김 변호사의 폭로가 전부 사실일 경우를 가정할 때 그런 광범위한 의혹들이 오너 한 개인의 생각대로 움직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특검팀이 삼성 오너만큼 막강 파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핵심 고위층의 움직임 하나 하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특검, 임원 일부 소환 통보

김 변호사는 이번 삼성 비자금 의혹 사건의 최초 폭로 시점부터 줄곧 삼성의 핵심 고위층 인사들을 그 중심으로 지목하고 있다. 그가 삼성의 심장부인 옛 구조조정본부(현 전략기획실)에 속해 있었던 만큼 어쩌면 당연한 행보다.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는 삼성그룹이지만, 사실 폭로 초기 이를 막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것도 그의 이런 이력이 한 몫 한다.

때문에 서막을 올린 특검수사 역시 이들 핵심 고위층 인사들의 불법행위 여부를 가려내는 데 집중될 수밖에 없다. 의혹의 진실이 무엇이며, 사실이라면 누구를 통해, 어떤 흐름과 방법으로 불법행위들이 이루어졌을까를 밝혀내는 게 특검수사의 핵심이다.

이런 맥락에서 특검팀은 비자금조성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는 삼성그룹 계열사 일부 임원들에 대해 지난 1월16일 소환 통보를 했다. 삼성그룹 재무팀에 근무했고, 지난 1996년부터는 삼성증권 경영지원실 임원으로 재직했던 성영목 호텔신라 대표이사가 첫 소환 됐고 3~4명의 대상자가 기다리고 있다. 일단 검찰 수사에서 드러난 핵심 임원 명의의 차명계좌 문제를 먼저 풀고 가겠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특검팀 주변에서는 최초 소환 통보된 이들 계열사 임원에 대한 소환 조사가 마무리되면 뒤이어 그룹 핵심 고위층의 줄소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조사 대상은 아무래도 김 변호사가 비자금 조성, 관리자로 지목한 이른바 ‘68인의 핵심 임원’이 되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김 변호사는 이들 명단과 혐의 내용 등을 담은 문건을 검찰 특본팀에 이미 제출한 바 있고, 특검팀에도 자료가 전해진 것으로 알려진다.

그렇다면 리스트에는 누가 올라 있을까.
특검팀 주변 등에 따르면 일단 이학수 부회장과 김인주 사장, 최광해 부사장, 전용배 상무 등 그룹 전략기획실 수뇌부 4~5명이 포함돼 있다. 김 변호사가 폭로 초기부터 줄곧 여러 의혹들에 대해 조직적인 지시, 조성, 관리 등의 핵심 인물로 지목했던 인사들이다.

이 밖에 최도석 사장(삼성전자), 정연주 사장(삼성엔지니어링), 김순택 사장(삼성SDI), 이창렬 사장(일본삼성), 지성하 부사장(삼성물산) 등 계열사 사장단 10여명과 이들 계열사의 전무급, 상무급 임원 30여명이 거론되고 있다. 모두가 특검팀의 소환 대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릴 수 있는 분위기다.
김 변호사는 최근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68인의 리스트를 공개하고 “전략기획실은 매년 초 전년도 경영성과 수치에 따라 비자금 전체 계획을 세우고 계열사별로 할당한다. 비자금을 만들지 못하는 계열사들은 회장과 비서실(현 전략기획실)의 뜻을 각 계열사에 전파하는 역할을 중요한 활동으로 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직접 소환 대상자 누구?

하지만 특검팀 주변에서는 리스트에 오른 인사 전부를 소환 조사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해석이 높다. 모두가 현직에서 왕성한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탓에 출석 시간 조율도 만만치 않은 데다 최장 1백여일인 특검의 수사 기간에 이들 모두를 불러 일일이 조사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다만 이학수 부회장과 김인주 사장 등 전략기획실 핵심 임원과 차명계좌 등의 혐의점이 일부 포착된 계열사 사장단 10여명 선이 직접 소환 조사의 대상자가 될 것이란 관측이 높다.

특검팀 수사가 비자금 의혹을 중심으로 오너 일가의 경영권 편법승계 문제, 정관계 전방위 로비 의혹까지 진행되려면 이런 내용들을 총괄하는 위치에 있는 인사들의 직접 조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삼성그룹으로서는 이 회장과 이들 핵심 인사들의 소환 조사 가능성만으로도 침통한 분위기다. 삼성그룹의 70년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는 이번 특검팀의 압수수색만으로 그룹이 받은 충격은 상당하다.

더구나 의혹이 진실이든 아니든, 사실관계를 떠나 초일류기업을 지향하는 삼성의 최고위 인사들이 줄줄이 수사 대상에 거론된다는 것 자체로도 이미지엔 심각한 타격일 수밖에 없다. 여기에 '시사저널 사태'에서 봤듯 삼성 내부를 넘어 언론까지 움직이는 핵심 인사들의 막강 파워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를 수도 있는 문제다.

이래저래 충격파를 피하기는 어려워 보이는 대목. 특검수사가 진행되는 내내 이들 인사들의 일거수일투족이 여론의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 지난 1월14일 승지원 압수수색에 나선 특검팀 관계자들.
▶ 삼성특검, 이건희 회장 정조준?

삼성 비자금 의혹 사건 수사의 시작과 함께 조준웅 특별검사 수사팀의 삼성그룹 전방위 압수수색이 이어지고 있다. 14일 하루에만 이건희 회장의 집무실과 그룹 임직원들의 자택 등 8곳에 특검팀 수사관들이 들이닥쳤다. 이에 따라 특검팀이 첫 신호탄으로 이 회장과 핵심 임원들의 사생활 공간을 겨냥하자 재계 안팎에선 이 회장의 직접 소환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특히 이 회장의 개인공간이자 집무실인 승지원에 대한 압수수색에 대해서는 삼성은 물론 재계에서도 놀라는 기색이 역력하다. 수사에 필요한 단서 확보차원이라고는 하지만 특검팀 첫 행보를 이 회장의 심장부에 맞췄다는 사실이 앞으로의 수사방향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물론 재계 일각에선 특검팀의 이런 행보가 ‘구색 맞추기식 아니냐’는 갸웃한 시선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미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방향이 ‘친(親)기업’인 탓에 삼성 의혹 수사도 파장이 크지 않은 선에서 마무리되지 않겠냐는 의문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특검팀 주변의 분석은 다르다. 어차피 삼성 의혹의 중심이 오너 일가와 삼성 핵심 임원들에게 쏠려있는 데다 이미 삼성이 중요한 기밀자료를 남겨놓지 않았을 것이란 배경이 깔려 있는 탓에 차선책으로 이 회장과 임직원들의 개인공간을 첫 타킷으로 정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아무튼 특검팀의 수사 방향에 대한 분분한 관측이 엇갈리면서 수사 결과에 대한 관심이 벌써부터 재계 안팎을 후끈 달구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