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워
저 금형만 바라보면
이상하게 가슴이 마구 떨리고
온 몸에서 소름이 돋아
배 고파
프레스기 앞에만 앉으면
이상하게 아랫도리가 떨려오면서
별들이 반짝거려
달아나고 싶어
진종일 검은 햇살만 쏟아지는
이 무시무시한 공단이 없는 곳으로
마구 도망치고 싶어
-이소리 <공돌이의 꿈>
이듬해. 1979년 봄날, 공장 밖의 햇살은 몹시도 따사로운데, 공장 안의 햇살은 늘 추웠다. 이상하게 공장 안에만 들어오면 으실으실 추워지면서 온몸에 소름이 돋았고, 배가 고파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공장 밖에만 나가면 나도 모르게 마음이 훈훈해지면서 배가 든든한 느낌이 들었다.
그때 나는 프레스실의 모든 공정을 부서장 없이도 스스로 처리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웬만한 안전사고 요인도 스스로 제거하거나 프레스실 주임에게 제안할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
당시 내가 같이 프레스실에서 근무했던 다른 노동자들보다 훨씬 빠른 시일 안에 프레스실의 일을 익힐 수 있었던 것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예방조치였다. 조금 더 폭넓게 말하자면 주변 동료들의 안전까지 지켜주고 싶었다.
"0월 0일 0시부터 연마실 근무를 명함."
참으로 이해할 수가 없었다. 부서 이동을 시키려면 처음부터 시켰어야지, 이제 와서 무슨 까닭으로 연마실로 가라는 것인지. 그것도 나의 전공도 아닌, 연마실로의 이동이라니. 그래, 연마실이 무엇을 하는 곳인가. 여러 가지 금속 제품을 연마기에 닦아 광을 내는 부서가 아닌가.
공장 내에서도 작업환경이 가장 열악하다고 소문이 난, 바로 그 부서가 연마실이 아닌가. 늘 마스크를 쓰고 일을 해야 하는 부서. 마스크를 쓰고 있어도 콧구멍과 입 주변에 시커먼 자국이 생기는 그 부서. 그래서 마스크조차도 하루에 서너 번씩 갈아 끼어야 하는 그 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