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합당
신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합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천년민주당 후 4년 5개월만에 한자리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11일 신설합당 방식 통합에 합의했다. 이는 지난 2003년 9월20일 ‘새천년민주당’이 갈리진 후 4년5개월만의 일이다. 신당과 민주당은 이날 당명을 ‘통합민주당’으로 약칭은 ‘민주당’으로 결정했다.

통합민주당으로 하나돼

신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 박상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통합과 쇄신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갖고 양당 통합을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공동선언문에서 “한나라당이 대통령 권력과 지방정부 권력을 이미 장악했고, 4월 총선에서 개헌선(200석)이 넘는 국회의석까지 장악할 경우 민주정치의 요소인 복수정당 제도가 사실상 유명무실해져 민주주의에 위기가 조성될 것"이라며 "이에 우리는 강력한 중도개혁 통합정당을 결성키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손학규 대표는 “국민을 대변하는 강력한 야당이 되기 위해 통합했다”며 “통합을 한 만큼 쇄신도 두 배로 하겠다. 특정지역의 공천만 받으면 (당선)된다는 자세에서 벗어나기 위해 뼈를 깎는 노력으로 쇄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전국정당을 통한 국민통합의 노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히며 인재영입위원장을 직접 맡을 것임을 밝혔다.

박상천 대표는 “분열됐던 민주개혁세력이 하나로 통합돼 감개무량하다. 국민 여망을 받들어 통합을 했다. 한나라당에 대적할 수 있는 대안정당이 되도록 당을 쇄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우상호 통합신당 대변인은 “역사적 감동적 순간이다. 통합신당과 민주당이 헤어져서 마음앓이를 하다가 50년 정통 정당으로 하나가 됐다”며 이날의 감격을 전하기도 했다.

총선 공천문제에 대해 “양당이 신의를 갖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균형있는 공천을 하고, 쇄신공천을 위해 외부인사가 과반수가 되는 공천심사위를 구성, 공심위의 독립성을 존중한다”는 문구를 합의문에 명시, 이를 근거로 한다는 방침이다.

신당과 민주당의 통합실무단에 의한 세부사항 조율이 끝나면 양 당은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 절차를 거쳐 15-16일께 선관위에 ‘통합민주당’을 등록할 예정이다.

호남 기반 ‘튼튼’…총선 지각변동 예고

‘통합민주당’의 탄생은 총선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호남권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합당은 한나라당의 압도적인 우위를 꺾을 수 있는 기폭제를 마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의식한 듯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은 신당과 민주당의 합당에 앞다퉈 혹평을 내놨다.

한나라당은 나경원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양당의 합당은 정당의 비전과 가치는 무시하고 대선에서 이루지 못한 꿈을 지역주의로 회귀해 이뤄보겠다는 것으로, 국민을 우습게 알고 무시하는 행태”라며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합당은 총선 때마다 나타나는 날림공사”라고 비판했다.

나 대변인은 이어 “총선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 양당이 합당을 했지만 국민은 그나마 조금있던 지지마저 철회하게 될 것”이라고 쐐기를 박았다.

자유선진당 이혜연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양당은 원래 하나의 당이었는데 분당했다가 다시 총선을 앞두고 합당을 하겠다고 선언했다”며 “이는 총선을 겨냥한 지역주의 야합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