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16일 “연평도 해상 표류 북한 주민 22명에 대한 합동신문 결과, 귀순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련절차에 따라 북으로 귀환조치했다”며 “몰래 돌려보냈다는 조선일보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북한주민의 서해상 표류경위와 관련 “2월 8일 새벽 서해 연평도 인근에서 표류중인 북한 고무보트 2척(22명 승선)을 발견하고 관계기관 합동으로 이들의 ▲신원사항 ▲월선 경위 ▲귀순여부 등을 집중 조사한 결과, 굴 채취로 돈벌이하기 위해 설 명절 기간에 당국의 어선출입항 통제가 느슨한 점을 이용, 고무보트 2척에 나누어 타고 5km정도 떨어진 인근 모래섬으로 출항하였다가 귀항도중 보트를 예인하던 동력선이, 엔진고장으로 침수중인 다른 선박을 구조하러 간 사이 조류에 휩쓸려 표류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구조 당시 이들은 조개채취용 어구ㆍ어망ㆍ채취한 굴(6자루)ㆍ방수복(2벌) 등을 소지하고 있었다.
국정원은 또, 이들의 귀순 여부와 관련해 “관계기관 조사과정에서 이들 22명은 단순히 조난을 당한 것일 뿐 귀순한 것이 아니라며, 가족들이 있는 북으로 돌려보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 “강령군 등암리 수산사업소ㆍ협동농장 등지에서 노무자로 근무하고 있는 일반주민들로 대공용의점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조난 북한선박 처리절차에 따라, 8일 당일 이들 전원을 판문점을 통해 북측에 인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정원은 북한 주민의 해상 표류사건이 발생할 경우 “우선 대공용의점 유무를 규명하기 위해 보안유지하 관계기관 합동으로 조사하며, 본인이 귀환의사를 표명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신속 송환하고 언론에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정원은 “언론에서 관련내용을 입수하여 문의해 올 경우 사실 관계를 중심으로 확인해 주고 있으며 이번 사건도 지난 2월12일 모 언론사등에서 문의해와 확인해 준바 있다”며 “일부 언론에서 단순한 북한 선박 표류사건을 보도하면서 우리 정부당국이 고의로 은폐한 것처럼 왜곡한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방부도 16일 조선일보가 이날 보도한 “南으로 온 北 22명 몰래 돌려보냈다”라는 제목의 기사와 관련, “지난 2월 8일 아침, 방향을 잃고 서해상에서 표류 중에 있던 북한 무동력선(2척, 22명)을 발견하여 관계기관에서 조사한 결과, 귀순의사가 없어 당일 저녁 무렵 판문점을 통해 다시 돌려 보낸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