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0년까지 전국 모든 지하철 역사에 안전펜스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고, 혼잡 역사에는 공익요원이 집중배치된다.
정부는 18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윤대희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건설교통부 차관, 소방방재청장, 서울시 부시장 및 서울시내 지하철 관련 3개 공사 사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지하철역사내 승객안전관리 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이 결정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2003년 2월 대구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전동차와 역사의 방재관리시스템은 크게 개선됐지만, 많은 승객들이 일시에 몰리는 혼잡시간대에는 안전사고 위험이 높고, 역사 내에 다양한 상점들이 영업을 하고 있어 화재발생 위험이 취약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승강장 대기, 환승을 위한 이동, 승하차 등 승객의 동선에 따라 안전실태를 파악하고 역사내에 의류·매점 등의 화재예방 시설 설비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관계기관 합동으로 지하철 역사를 일제 점검하기로 했다.
또 혼잡시간대 지하철 승객의 안전확보를 위해 △2010년까지 전국 지하철 모든 역사내에 안전펜스 또는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서울시내 17개 역을 대상으로 승강장 및 대합실 연차적 확대 △승객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금년중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200대 설치 △혼잡역사내 공익요원 집중배치 및 역내 순찰 강화 △사고유형별로 대처 메뉴얼 작성 및 보완 조치를 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역사내 입점상가에 대한 화재예방을 위해 △매점 내 가연성 물품 보관자제 및 불연성 간판 활용지도 △임대 점포 등에 대한 화재예방 순찰 강화 △혼잡·환승역 등을 중심으로 긴급 대응훈련 실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윤대희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회의에서 사고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관련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사고 발생 취약 분야를 중심으로 하나하나 다시 점검하고 안전관리시스템을 재정비해 나가는 등 지하철 승객 안전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