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혈액 순환 장애 발생 쉬워
아침 저녁으로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손이나 발 등이 자꾸 저린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기온이 떨어지면 혈액 순환 장애가 발생하기 쉬운데 이는 인체내 혈관 들이 수축되기 때문이다. 혈관 수축은 손과 발끝으로의 혈액 공급을 차단, 결국 손발저림 증상을 일으킨다. 손발저림 현상은 특히 혈관조직 등이 노후해져 있는 중·장년층 이상의 사람들에게 서 빈발한다.
“손발이 저리거나 화끈거려요”
한의학에서는 손발저림을 비증(痺證)이라는 질환으로 분류한다. 즉 기혈(氣血)의 흐름이 원 활하지 못해 관절 부위 등에 운동 장애나 감각 이상을 일으키는 병으로 보고 있다. 비증이 피부에 나타날 때는 주로 감각 장애를 일으키며, 근육이나 근골에 오면 관절통증 등의 운동 장애 증상 을 보인다.
손발저림증은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발병한다. 가장 큰 원인은 혈액 장애, 즉 혈전으로 인해 체내의 혈액순환이 원 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데 따른 것이다. 따라서 과격한 운동 이나 노동, 불량한 자세 등의 원인이 없는 상태에서 손발저림 증 상이 계속될 경우 혈액 순환 장애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
원인 질환의 감별에 신경 써야
주요 성인병의 전조 증상으로 손발저림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 어떤 부위가 주로 저리냐에 따라 원인이 되는 질환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질환 원인 감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손과 발이 동시에 저릴 경우 일단 ‘다발성 말초신경병염’을 의 심해 볼 수 있다. 손과 발의 통증을 유발하는 병변이 뇌와 혈관 이 아닌 말초신경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증상이 서서히 악화되 며,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당뇨병은 다발성 말초신경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당뇨병으로 인한 저 린 증상은 처음에 발가락이나 발바닥부터 나타나기 시작, 손가락 과 손바닥 등으로 확산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오른쪽이나 왼쪽 어느 한편에서 손발이 저리는 경우는 뇌질환인 뇌출혈, 뇌졸중, 뇌의 외상, 뇌종양, 뇌동맥경화 등이 원인이다.
팔과 다리 중 한곳만 저릴 때는 척추질환인 척수종양, 척수염, 디스크, 측만증 등을 의심해 봐야 한다.
중풍이나 고혈압, 관절염 등 만성질환의 합병증이나 오십견, 혈 액 낭염 등 근골격계 질환도 손바닥과 팔목을 연결하는 신경을 눌러 손발저림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수근관 증후군과 같은 말초성 증상은 생리특성상 여성이나 단순 하고 반복적인 일을 많이 하는 직업 종사자, 기력이 쇠약한 노인 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치료법
발병 원인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진다. 따라서 전문의의 진단이 필수적이다. 한방에선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치법(治法)을 기본으로 삼아 침이나 뜸,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을 병행하고 있다.
찬 기운이 원인인 경우 따뜻하게 하는 치료법을 쓰고, 열 기운이 원인인 경우에는 차게 하는 치료법을 사용한다. 습담(濕痰)과 같은 불순물이 있으면 이를 제거하는 치료법을 쓴다.
몸이 허약한 경우엔 보법(補法)을 활용한다. 이때 반드시 병의 급성과 만성, 허실(虛實)을 구분해야 한다. 가령 초기이면서 몸 상태가 양호하면 따뜻한 약 위주로 기혈을 소통하는 처방을, 만성이면서 몸이 허약하면 따뜻하게 보(補)하는 처방을 한다는 것이다.
침 치료는 환자의 통증 부위를 진찰한 뒤 어깨, 목, 허리 부위 경혈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장점이 있다. 또 한약을 추출, 침 놓는 자리에 집중 주입하기 때문에 한약과 침의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몸이 허약한 경우 뜸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약물 요법은 약물로 신진대사를 바로 잡아주는 방법으로, 효과는 바로 나타나지 않지만 전반적으로 체질을 개선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 이밖에 척추를 교정하는 치료법인 추나요법을 이용, 경추 또는 요추가 제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발저림 증상 을 없앨 수도 있다.
뇌졸중의 전조증상
·혀가 마음대로 안 돌아가 발음이 분명치 않거나 말을 못할 때
·일어섰을 때 자꾸 한 쪽으로 기울어질 때
·갑자기 한쪽 눈이 안보이거나 사물이 둘로 보일 때
·갑자기 손 동작이 둔해지는 등 증상을 보이면 뇌졸중을 의심할 수 있다. 전문의들은 이 중 한 가지 증세라도 자각되면 빨리 병원을 찾으라고 권한다. 또 45세를 넘어선 중년은 뇌졸중 정기검진을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한다.
뇌졸중 증상이 왔을 때 초기 대처방법
우선 원활한 피순환을 위해 몸에 꽉 끼는 옷을 벗기거나 허리띠를 풀어줘야 한다. 한방에서는 뇌졸중 초기 때 우황청심원을 먹이는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민간요법에는 손가락을 따는 경우도 있지만 과학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다.
뇌졸중을 피하려면
요즘같이 조석으로 날씨가 추울 때는 야외운동을 피하는 게 좋다. 오전 8~10시 사이에 운동하면 뇌혈관이 갑작스레 수축돼 뇌졸중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내운동도 마찬가지다.
식습관 변화도 좋은 방법이다. 혈압 강하와 동맥경화를 약화시키는 녹차나 대추차를 즐기고, 짠음식 섭취를 줄이거나 기름기 많은 음식은 피한다. 금연도 필수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뇌졸중이 발병할 확률은 1.5배가량 높다. 뇌졸중학회는 1년간 금연하면 뇌졸중 발병 확률이 50% 이상 주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뇌졸중에 대한 오해
뇌졸중 발생 주범은 고혈압이 아니라 `노화`다. 60세에 비해 70세는 배, 80세는 4배가량 뇌졸중 발생률이 높다. "나이 70을 넘으면 중풍은 친구가 된다"는 말도 그래서 나왔다. 미세혈관이 막혀 있을 경우엔 뇌졸중 전조증세가 없다. `무증상성 뇌경색`이다. 40세 이상 성인 중 30%가량이 무증상성 뇌경색이란 임상보고도 나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