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코리아와 비즈몬이 지난 2월 21일부터 28일까지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정규직 직장인 2,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인식 조사'결과 드러난 사실이다.
이번 조사결과 직장인 68.7%(1,382명)가 '자신을 업무처리 능력이 뛰어난 '우수인재'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인이 '우수인재'가 아니라고 응답한 직장인은 2.5%(51명) 수준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연령과 현재 일하고 있는 직무분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자신을 '우수인재'로 생각하는 정도는 연령대별로 40대 직장인이 78.7%로 가장 높았고, 30대 직장인(74.6%), 20대 직장인(60.9%)이 그 뒤를 이었다.
직무별로는 현재 기획직(76.1%)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직장인들에게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어 △디자인(75.8%) △IT정보통신직(71.9%) △마케팅(71.6%) △영업직(70.0%) △연구개발직(67.8%) 등의 순이다.
한편 이번 조사대상 직장인들에게 '본인의 능력에 준하는 연봉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물어본 결과, 응답자 중 70.6%(1,422명)가 '자신의 능력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고 답변했다. 반면 '자신의 능력에 맞는 합당한 연봉을 받고 있다'고 밝힌 직장인들은 22.6%(455명) 수준에 불과해 연봉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본인을 '우수인재'라고 평가한 직장인들의 연봉에 대한 불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직장인들에 비해 더 높았다. 자신이 우수인재라고 생각한다고 응답한 직장인 1,382명을 대상으로 '능력에 준하는 연봉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조사대상자 중 77.4%가 '능력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고 답했고, 능력에 맞는 합당한 연봉을 받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은 17.9%, 능력에 비해 높은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1.5%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반면 스스로를 '우수인재'가 아니라고 평가한 직장인 51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질문을 한 결과, 5명 중 1명(23.5%)이 자신의 능력에 비해 높은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 25.5%는 '자신의 능력에 맞는 합당한 연봉을 받고 있다'고 말했고, 49.0%는 '능력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