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첫 소금 생산일인 28일을 앞두고 염전에 새하얀 소금꽃이 활짝 피면서 염전 인부들의 손놀림이 바빠졌다.
단단한 염전 바닥 갯펄을 삽으로 얇게 떠 뒤집기도 하고, 바닷물이 빨리 증발할 수 있도록 물길을 고치기도 한다.
햇소금 생산을 앞두고 신안군 천일염 주생산지가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전국 천일염 생산량의 65%를 차지하고 있는 신안군에서는 천일염이 식품으로 지정되는 28일을 천일염 생산 개시일로 정하고 생산준비가 한창이다.
첫 소금 생산일을 지정한 것은 염관리법 개정 이후 천일염이 식품으로 인정받게 된 첫 시행일이며 평균 기온도 섭씨 15도 이상 올라 본격적인 천일염 생산 시기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첫 소금을 생산하는 날인 28일 신안군 증도면 태평염전에서는 식품인정 기념 및 첫 소금작업의 순조를 기원하는 채렴식을 갖는다.
채렴식은 첫 수문을 열고 소금을 만들어 하늘에 고하는 의식으로 한해동안 좋은 소금을 얻게 해달라는 염부들의 소망을 담는 풍습이다.
이날 처음으로 생산된 소금은 소금 박물관에 보관할 예정이다.
또 29일 서울 청계천 일대에서는 천일염의 날 선포식과 함께 기념행사가 펼쳐진다.
천일염의 우수성을 전국민에게 알리고 천일염에 관한 이색 행사를 통해서 천일염을 가까이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행사장에서는 10톤의 소금을 이용해 천일염탑을 쌓고 천일염 음식비법 전수, 함초국수 시식, 천일염 맛보기 등 다채로운 체험행사도 펼쳐진다.
전남도에서는 올해 천일염 생산 개시일 지정으로 신안 천일염의 이미지가 높아져 연간 600억 원의 소득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퓨리엔비텍에쓰와 100억원 규모의 천일염 산업 투자협약을 체결하는 등 구운소금 제조공장을 건설해 천일염 명품화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 전남 천일염을 프랑스 '게랑드 소금'같은 명품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1년까지 998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전남의 천일염 생산량은 지난해 29만 6천t으로 전국의 87%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