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선진한국 우리가 주창한 것"
노무현 대통령이 `선진한국'과 `선진경제'를 올해의 주요 국정목표로 제시한데 대해'선진'을 당명 개정 등 당 쇄신방향의 키워드로 삼은 한나라당이 `저작권 문제'를 거론하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한나라당은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선진화를 위한 4대 개혁과제'를 제시하고 12월 말에는 `경제선진화 7대과제'를 발표하는 등`선진'이라는 개념에 강한 애착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김형오 사무총장은 6일 오전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상임운영위원회에서 노 대통령이 5일 대한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 에서 `선진경제'와 `선진한국'에 대해 언급한 것을 지적한 뒤 "한나라당이 박 대표를 중심으로 `국가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고 비전을 제시했다"면서 "양해도 받지 않고 `선진'이라는 말을 쓴 것을 보면 `선진'이라는 말의 타당성은 입증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문제는 말의 성찬에 그쳐서는 안된다는 것이며 내용을 같이하고 말을 실어담은 용기(그릇)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선진경제, 선진한국이 되기 위해 각고의 노력과 제대로 된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우리당이 주창한 선진의 개념이 옳다고 생각한다면 우리당이 줄곧 주창했던 상생의 정치를 실천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박근혜 대표는 "우리가 주장하는 선진화는 법치주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며 "대통령과 정부가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할 때 경제문제와 혼란, 분열이 쉽게 풀릴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백방으로 노력을 해도 문제는 풀어질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대표는 또 "(우리가) 선진화를 먼저 주창했기 때문에 노 대통령도 우리와 같은 인식을 하고 있으리라 믿는다"며 "노 대통령이 앞으로 선진화 노력에 동참하는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나라당은 지난 4일에도 부대변인 논평을 통해 "한나라당은 당명까지 `선진한국당'이 유력하게 거론될 정도"라면서 노 정권이 `선진한국'을 제시한 것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기분좋은 `정책 도둑맞기'로 받아들이고 싶다"고 `저작권'이 한나라당에 있음을 강조했다.
한나라당의 이같은 반응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우스운 논쟁"이라며 "내용을 갖고 얘기하자"고 응수했다.
김현미 대변인은 "선진이라는 용어 사용에 한나라당의 우선권이 있다는데 정초부터 누가 먼저 썼는지를 두고 논쟁하는 것이 참 우습다"며 "유감스럽게도 지난해 연말 한나라당의 수구적 태도, 의회주의를 무시하는 태도를 보면 한나라당에 선진한국을 기대하는 것은 요원한 일이 아닌가 싶다"고 일갈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박근혜 대표는 알맹이 없는 뼈만 앙상한 얘기를 한다"며 "'잘 살아보세'라고 구호만 얘기하는 시대는 지났다, 박 대표의 입에서 한번도 구체적인 얘기를 들어보지 못했다"고 말한 뒤 "내용을 갖고 나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