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합당문제 관여할 생각없다"
노무현대통령은 23일 민주당 김효석 의원에 대한 교육부총리 입각 제의가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합당 시도로 비쳐지고 있는 것과 관련, "그 문제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고 관여할 생각도 없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일요일인 이날 오전 예고없이 청와대 춘추관을 방문해 기자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합당론에 대해 자신은 "알지도 못하고 관여할 생각도 없다"면서 "이번 일은 그 문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고, 김 의원에게는 탈당이든 당적 이탈이든 아무런 요구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김 의원을 선택한 것은 바로 자신이라며 "김 의원과는 정책활동을 같이 해 잘 알고 있고, 지금 이 시기 대학교육을 개혁하는데 필요하고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교육부총리는 교육전문가가 아니라 대학교육을 개혁하는 문제에 대해 경제계의 요구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은 민주당 소속인 김 의원에게 교육부총리직을 제의함으로써 민주당 지도부와 호남의 지지를 촉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긴밀한 공조로 연결시켜 원활한 국정운영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 우리당과 민주당의 통합을 이루기 위한 계산된 행동이 아니었음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민주당 지도부와의 사전 협의 문제에 대해 "김 의원이 부총리직 제의에 동의하면 민주당 지도부에 양해를 구하는 절차에 대해 김 의원과 협의를 하려 했었다"면서 "대개 김 의원 자신이 직접 양해를 구하면 될 것으로 생각했지만, 미리 공개돼서 여지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최근 각 당 지도부와의 회동에서 민주당 한화갑 대표가 '올해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대통합의 정치를 펴달라고 했었다'"면서 "매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상생의 정치가 이렇게 될수 있지 않겠나 생각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아울러 "장관은 전문가를 활용할 줄 알고, 각계의 이해관계를 잘 조정할 줄 아는 사람이 제일 좋다"면서 "민주주의사회의 정무직 대표가 장관인 만큼 저도 정치인 장관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 대통령은 후임 교육부총리 인선을 비롯, 향후 개각 때 여야 정치인들 가운데서 발탁되는 경우가 잦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돌아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