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시설명회가 직장인들로 북적였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가운데 실제 전문직으로의 이·전직을 희망하는 직장인이 상당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인크루트가 리서치기관 엠브레인과 함께 직장인(자영업자 포함) 1천158명을 대상으로 ‘전문직 이·전직 의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의 58.2%(674명)가 전문직으로의 진출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살펴보면 현재 직업이 회사원인 경우 전문직으로의 이·전직 희망 비율이 64.3%로 가장 높았고, 현재 전문직 종사자인 경우도 58.8%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공무원과 자영업자의 희망 비율은 각각 34.7%, 34.4%였다.
또 20~30대일수록, 석·박사이상의 고학력자일수록 많았다.
이·전직을 희망하는 전문직 분야는 공무원(17.7%)이 1순위로 꼽혔다. 다음 IT(14.4%), 부동산(13.4%), 재무(회계)(8.5%) 분야가 상위권에 올랐으며 이어 금융(8.0%), 레저(6.7%), 의약, 간호사(5.8%) 등의 순이었다. 법률 분야로의 이·전직을 희망하는 경우는 2.5%로 소수에 그쳤다.
성별로는 남성은 ‘IT’분야로의 이·전직을, 여성은 ‘공무원’으로의 이·전직을 1순위로 꼽아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20~30대가 ‘공무원’, 40~50대가 ‘부동산’ 분야로의 이·전직을 원해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젊은층의 경우 안정된 직장(직업)을, 중년층이상의 경우 퇴사후의 직장(직업)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이·전직 희망 사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전문직으로의 이·전직을 희망하는 이유에 대해서 34.0%가 ‘정년보장이 안 되는 직장에 대한 불안감’을 꼽았으며, ‘직장생활에 비전이 없어서’(24.9), ‘사회적 성공을 위해’(19.9%), ‘정년퇴직, 노후를 위해’(16.9%) 등의 이유를 들었다. ‘정년퇴직, 노후를 위해’ 이·전직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40대 이상으로 가면서 급격히 높아졌다.
또 ‘사회적 성공을 위해’ 전문직 이·전직을 희망한다는 응답은 석·박사이상 학력자 층에서만 1순위로 나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성공에 대한 욕심이 큰 것으로 보였다.
전문직으로의 이·전직에 대한 관심은 단순한 희망사항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구체적인 공부나 준비로도 연결되고 있었다.
전문직으로의 이·전직 희망자 674명 중 407명(60.4%)이 ‘구체적인 공부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것. 이는 전체 직장인으로 본다면 35.1%를 차지, 직장인 3명 중 1명이 전문직으로의 이·전직을 위해 구체적인 공부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령별로는 50대이상, 과·부장 직급이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직업별로는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전문직에 몸담고 있는 전문직 종사자(61.0%)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준비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력이 높을수록 구체적인 공부나 준비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부하거나 준비중인 부분은 전문 자격시험(61.9%)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대학원 등) 진학’(16.7%), ’전문대학원 입학’(4.2%), 유학(3.2%) 등이었다.
로스쿨과 같은 ‘전문대학원 입학’을 준비중인 경우는 30~40대 남성, 전문직·공무원 종사자, 석·박사 이상 학력자 사이에서 많았다.
전문직 진출을 위한 공부기간은 ‘1~2년’(49.7%)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3~4년’(31.6%), ‘4년이상(4.6%)을 내다보는 경우도 상당했다. ‘될 때까지 계속’하겠다는 응답도 14.1%나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