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조속히 작업현장 복귀해달라”
“건설노조 조속히 작업현장 복귀해달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기계 임대차 표준계약서 조기정착 등 전력 다할 것”

국토해양부는 16일 “그간 전국건설노조(건설기계분과)와 11차례에 걸친 실무협의 등을 통해 상당부분 의견일치를 보았는데도 16일 0시를 기해 노조에서 작업거부에 돌입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건설노조는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조속히 작업현장에 복귀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또 “국토부, 건설노조, 사업자단체(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설비건설협회, 건설기계협회) 등 이해관계자가 오랜 논의를 거쳐 합의한 ‘건설기계 임대차 표준계약서’ 제도가 지난 5월 6일부터 시행중인 만큼 건설현장에 조속히 정착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어 “지난 8일 범정부적으로 마련된 ‘고유가 극복 종합대책’에도 건설업체가 현장에서 건설기계사업자에게 경유를 제공하는 방안을 포함해 발표했다”며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되는 22일부터 모든 현장에서 이행될 수 있도록 발주자와 시공사를 적극 독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와 노조는 지난 5월27일 전면작업 거부 선언 이후 지금까지 총 11차례의 실무협의 등을 통해 상호 이해와 합의를 이해 모든 노력을 다해 왔다.

17일 오전 예정된 노조와의 면담에서 권도엽 국토해양부 제1차관은 “건설기계 임대차 표준계약서 활성화, 건설업체의 유류 직접지급 등에 대해 향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가는 등 노조 요구사항이 건설현장에 정착될 때까지 전력을 다할 계획”임을 밝힐 예정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이번 건설기계 작업 거부가 공사중단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유관기관 및 단체 등과 적극 공조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는 “건설기계 노조원의 작업거부로 공사중단 현장이 발생하면 건설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국민경제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므로,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조속히 작업현장에 복귀해 줄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건설기계노조는 전체 조합원이 1만8000여 명으로 이중 1만7000여 명이 덤프트럭 운전자이다. 총 조합원 8500여 명중 5000여 명이 덤프트럭 운전자인 한국노총 산하 건설·기계노조도 이날 0시를 기해 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덤프트럭 5만1000대 중 43%인 2만2000여 대가 동시에 멈춰 서게 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