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이 나흘째로 접어든 가운데, 운송거부 차량이 1만3443대로 증가하고 주요 항만과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8%까지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정부는 16일 “협상에 진전이 없어 화물운송 차질이 더 심각하게 진행될 경우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Red)’ 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업무개시 명령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이날 “전국 11개 주요 항만과 ICD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15일 오후 10시 현재 1만2121TEU로 평상시 반출입량인 6만7871TEU의 18%까지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특히 서울-부산간 수출입 화물 등 장거리 운송에서 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판단, 운송료 협상 조속 타결과 비상 수송대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15일 오후 10시 현재 운송 거부 차량은 1만3433대로 집계됐다.
특히 항만·ICD에서는 비화물연대 차량이 파업에 동참하면서 전날보다 74대 늘어난 8699대가 운송을 거부하고 있다.
특히 의왕 ICD의 경우, 위수탁 차량 255대 기사들이 운송을 위해 현장에 도착은 했으나, 화물연대 서경지부 농성으로 작업 시작을 못하고 있어 경찰에 협조를 요청해 둔 상태다.
정부는 부산 소재의 육군 항만수송단 소속 군 차량 27대를 긴급 투입하고 비화물연대 차량의 운송 복귀를 독려하는 한편, 연안수송은 여수산단 긴급 수출물량을 바지선으로 해상운송하고 컨테이너 수송을 위해 연안화물선 2척을 준비하는 등 비상수송대책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정부는 16일 밤 9시 화물연대측과 간담회를 열고 표준요율제 도입, 화주업체·CTCA 교섭과 관련된 구체적인 지원 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운임인상폭 및 표준요율제 시행시기 등에 관해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평택항의 경우, 운임협상 방안을 일괄타결이 아닌 각 회사별 타결로 협의키로 해 오늘 중 약 4개 운송사와 화물연대간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한편 이날 오전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컨테이너 운송사 사장단 간담회에서 사장단은 “비가입 연대 차량들이 운송을 하려고 해도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이를 방해하고 있다”며 대책을 호소했고, 정부는 “경찰청 등과 적극 협조해 운송방해 행위를 차단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