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야당의 불법정치파업행태로 인해 국회를 직무유기상태의 식물국회로 내버려 둘 수 없다며 조건 없이 국회에 들어와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데 협조할 것을 야당에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한나라당은 민생경제를 감안해 무작정 야당의 등원을 기다릴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는 점을 야당이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재섭 대표는 1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과 민주노총의 행보를 보면 촛불 주위에서 곁불을 쬐고 있는 것과 본업을 팽개친 채 정치파업을 벌이는 것 그리고 조직 내부에서 등원하자 파업하지말자 요구해도 묵살하는 행태가 막무가내인 것도 비슷하다”며 야당의 등원거부와 노동계의 파업투쟁을 강하게 비판했다.
또 강 대표는 “무노동 무임금이라는 말이 있는데 국회의원들도 법률에 따라 열린 국회에 응하지 않는 것은 무노동 무임금과 관련지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꼬집어 말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도 “국회 불법파업 한지 20일째인데 국회법을 위반한 명백한 불법파업인 점은 분명하고 헌법정지상태가 계속되고 있다”라고 지적하며 “현재개원이 되지 못해 국회의장 선출은 물론 상임위 배정도 하지 못한 국회가 올 스톱된 상황으로 긴급한 민생현안에 대해서 속수무책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홍 원내대표는 “지금과 같이 국회가 직무유기 상태, 식물국회가 계속되면 안 된다”고 강조하며 “야당과 실무진을 대상으로 실무진들끼리 개원협상을 하고 있는데 최대한 인내심을 갖고 야당의 등원을 기다리겠지만, 민생경제를 감안해 무작정 기다릴 수 있겠느냐는 의견도 있다는 것을 야당이 감안해주었으면 한다”고 국회 개원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조윤선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어제 민주당은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안 처리를 국회 등원의 전제조건”이라고 재확인하며 거듭, 국회등원에는 조건이 있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 대변인은 “국회에서 법안이든 현안이든 그 어떤 것이든지 여야 간에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것이 상식이요, 순리이며 국민들도 민주당의 국회 등원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조 대변인은 “국회 등원의 필요충분조건은 국민과 국가의 요구이지 자신들의 정략적 이해관계가 절대로 아니다. 계속해서 국회 등원의 조건만 외치며 국회를 거부하는 모습으로는 국민의 외면으로 자신들의 목적도 달성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조 대변인은 “민주당은 국회 등원 조건이 민생안정과 경제위기 해법을 찾는데 있다는 평범한 사실을 알아야 한다”며 당장 조건 없이 국회에 들어와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데 협조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