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와 전국 14개 대형 운송사들이 가입해 있는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CTCA)간 운송료 협상이 19일 오후 타결됐다.
화물연대와 CTCA는 이날 오후 부산해양항만청 회의실에서 재개된 제5차 협상에서 운송료 19% 인상에 전격 합의했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는 전국적인 집단운송거부를 철회하고 사업장별 운송료 협상체제로 전환키로 했다.
전날 협상에서 각각 21.5%(화물연대)와 16.5%(CTCA) 인상안을 제시하며 대립했던 양측은 이날 협상에서 각 2.5% 포인트씩 양보해 운송료 인상에 합의했다.
국토해양부는 협상 타결 후 “화물연대가 집단운송거부를 철회하고 현장으로 복귀키로 해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CTCA가 유가상승에 따른 화물차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해 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어 “그간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물류에 큰 차질을 초래하고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데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정부는 지난 17일 발표한 화물차 감차 지원, LNG 차량 전환,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 지원대책을 철저히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표준요율제 도입과 관련, “다음달 국무총리실 산하에 화물운임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하반기에 연구용역을 거쳐 내년에 시범운행 및 법화제를 추진키로 했다“며 “이번 사태를 물류산업 선진화의 계기로 삼아 다단계 등 화물운송시장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국토부는 “이제 화물운송 종사자분들은 조속히 운송현장에 복귀해 한국경제의 동맥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리고, 아직 협상이 마무리 되지 않은 사업장에서도 운송료 타결이 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화주와 운송업계분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정부는 물류기능이 하루 빨리 정상화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