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의원의 ‘권력사유화’ 발언으로 시작된 논란이 2차전을 맞았다. ‘정두언의 난’은 이명박 대통령의 호된 질책과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의 단호한 일갈, 당 중진과 중립인사들이 시기성과 적합성을 문제 삼는 것으로 조용히 마무리 됐다.
그러나 정 의원의 권력사유화 발언에 직격탄을 맞은 박영준 전 청와대 비서관이 “정 의원이 추천한 인사들이 청와대에 가장 많이 들어갔다”며 정 의원을 정면 겨냥함에 따라 ‘권력사유화’ 파문은 2차전을 알리고 있다.
공공의 적은 누구?
정두언 의원이 단단히 각오를 하고 ‘독한 발언’을 했었다. “청와대엔 전리품 챙기기에 골몰한 사람들이 있다”며 “장·차관 자리, 공기업 임원 자리에 자기 사람을 심는 게 전리품이요, 이권이 되는 것”이라고 일갈 한 것. 그는 이 대통령의 실정 이유로 “대통령 주변 인사들에 의한 권력의 사유화 때문”이라고 못을 박았다.
정 의원의 발언은 특히 그가 청와대 3인과 국회 1인 등 4명의 인사를 지적하며 엄청난 파문을 낳았다. 정 의원은 청와대 한 인사를 민비에 비유하면서 “욕심 없는 줄 알았던 A씨가 2인자 행세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고, 또 다른 인사에 대해서는 ‘이간질과 음해, 모략의 명수’라며 “호가호위했다”고 말했다. “부작용이 있어도 권력을 장악하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라고 한 의원을 겨냥키도 했다.
‘정두언의 난’은 그가 청와대 인사로 지목한 박영준 비서관이 사퇴하는 등 확산일로를 걸었다. 그러나 “권력을 장악했다”는 이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이 “나는 정풍운동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대통령이나 청와대 관계자에게 단 한번도 인사와 관련된 부탁을 한 적이 없다”고 의혹을 일축하고, 홍준표 원내대표가 “실세 중의 실세다 하다가 이제 와서 대통령의 형을 물고 늘어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하며 주춤거렸다.
쐐기를 박은 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일갈이다. 이 대통령은 “묻지마식 인신공격 행위와 발언”이라며 강력한 경고를 날렸다. 정 의원은 “대통령도 우리의 충정을 충분히 이해하시리라 믿는다. 이제 대통령의 정국 수습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서 뒷받침하겠다”며 물러서는 것으로 사태를 일단락지었다.
잔불이 겁화된다
그러나 불씨는 살아있었다. 박 전 비서관이 물러선 자리에 지난 대선 때 박 전 비서관의 외곽조직으로 불리우는 선진국민연대 출신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 의원에게 격침당한 박영준 전 비서관이 “정 의원이 추천한 인사들이 청와대에 가장 많이 들어갔다”며 “청와대 참모 인선 과정에서 정 의원은 50명 가량의 명단을 전달했는데 나중에 보니 그 중에 30명 정도가 관철됐다”며 정 의원을 정면 겨냥함에 따라 ‘봉합’됐던 ‘권력사유화’ 논란이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