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이 존재하는 한 창작본능 멈추지 않을 것"
"극단이 존재하는 한 창작본능 멈추지 않을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명력 있는 창작의 열매 '거꾸로 놓인 사다리'

▲ 뒷쪽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유재선(지민), 윤준한(아버지), 김수헌(전무), 김노경(연출), 구자은(수진), 권영복(정우)

젊음의 거리이자 표현문화의 메카인 대학로에 창작만을 고집하는 열정집단 '극단 홍사'가 한여름밤의 열기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작품을 접하기전 본 기자는 초라한 듯한 무대설치와 미흡한 조명구조를 보고 과연 이 무대에서 어떠한 그림이 그려질 것이며, 이 작품을 보기위해 객석을 메운 관객들은 무엇을 기대하고 있을까라는 의문부호를 던졌었다.

막이 오르고 공연이 시작되자 그 의문부호는 느낌표와 살아 움직이는 생동감의 절정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극을 마친 뒤 보여주는 관객들의 열광적인 반응은 이들이 창작극을 고집하며 열정을 불태운 이유를 보여주는 듯 했다.

한마디로 신선했고 한국창작연극의 가능성을 뚜렸하게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거꾸로 놓인 사다리> 이 작품의 내용은 그리 특이하지 않은 통속극 쟝르의 색깔을 띄고 있었다.

하지만 이 작품안에는 한국인들의 정서에 가장 적합한 원초적 귀소본능을 에너지화하여 이 연극만의 힘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었으며 관객들 또한 이 매력속으로 빠져버린 듯 했다.

이 극속의 등장인물은 5명이다. 이 5명은 각기 다른 개성으로 스스로를 표현했고 집단극의 필수요건인 조화의 원칙을 무난히 소화하고 있었다. 결국은 이 배우들의 에너지가 연극흥행에 가장 중요한 몫이라 할 수 있겠다.

정우(권영복,김진규)란 인물의갈등, 수진(구자은, 송영주, 이지혜)이란 인물의 야망, 전무(김수헌)란 인물의 현실표현, 지민(유재선, 이정하)이란 아이의 사랑스러움, 아버지(윤준한)의 절박함 등이 묘한 조화를 이루며 때로는 각기 다른 모습으로 또 때로는 하나가 되어 극을 알차게 엮고 있었다.

배우란 극분야에 있어서 표현의 총체이자 집합체이다. 그 만큼의 열정과 몰입이 동원된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극의 배우들은 그 필요충분조건을 갖춘듯했다. 사뭇 이들의 앞날이 기대된다.

이 극의 작자겸 연출가인 김노경씨는 '극단 홍사'는 존재하는 한 멈추지 않는 창작본능을 발휘할 것을 다짐했다.

이 극을 통해 창작극의 비중이 더욱더 높아지고 관객들의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길 기대한다.(주관 : 미래벤처연구회, 제작 : 홍현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