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4일 “정부는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불법시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수밖에 없다”며 “이제 촛불을 끄고 일터로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국무회의 브리핑 겸 정부대변인 논평을 통해 “가족과 국민건강을 위해 촛불을 들었던 국민들은 마음의 촛불을 켜고 정부를 지켜봐 달라”며 “국민 여러분이 건강한 삶의 감시자가 돼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유 장관은 “다수 시민이 누려야 할 광화문 일대 문화공연이 시위 때문에 취소되고 있다”면서 “고유가 사태로 어려워진 경제를 위해서도 불법시위는 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정부는 국민의 역동성과 가능성을 새삼 절감했다”면서 “국민이 얼마나 지쳐 있고 힘들어 하는지 잘 알고 있는 만큼 이제 정부가 열심히 뛰겠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사실 오늘 대통령께서 앞으로의 모든 정책은 민생경제·서민경제·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것들을 최우선으로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히셨다”며 “이제 국민들의 응집된 힘을 다시 우리 경제를 살리고 축제의 광장을 만드는 데 모아야 한다”고 전했다.
유 장관은 이어 “경찰은 사이버상 불법행위 선동과 모욕, 명예훼손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며 “인터넷 방송을 통한 명예훼손 행위와 경찰 진압 관련 허위사실 유포, 불법시위 선동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전·의경 부상과 장비 파손에 따른 민사상 손해배상도 청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장관은 또 일부 네티즌의 신문광고물 압박과 관련, “김경한 법무부 장관은 이런 광고압박 행위는 ‘광고주에 대한 공격’으로, 대기업은 물론 영세한 중소기업이나 여행사 등에까지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수사 강화방침을 밝혔다”고 전했다.
경찰은 현재 촛불시위 주최단체 집행부 12명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채증자료 정밀 분석 등을 통해 적극 가담자와 선동자 등에 대해 추가 사법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또 불법 가두시위에 대해서는 폴리스 라인 등을 통해 질서를 회복하고, 장기 도로점거나 과격폭력 행위자에 대해서는 현장 체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