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들의 체감경기는 경기회복에 대한 신뢰감이 크게 낮아져 7월에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1,500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중소기업 업황전망건강도지수(SBHI)는 전월에 비해 9.3P 급락한 78.2로 지난 2005년 2월 업황전망치가 74.5를 기록한 이후 4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앙회 관계자는 “고유가와 물가급등 등에 따른 국내 소비심리 악화여파와 사회 불안정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불신감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전체 20개 업종 모두 기준치(100)을 밑도는 부진이 전망됐으며 섬유(64.9), 인쇄기록매체업(66.7), 목재ㆍ나무(68.0) 업종에서는 업황전망지수가 60대를 기록해 이들 업종이 특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종이(70.0),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70.4), 의복 및 모피(71.9) 업종도 어려움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중소제조업 평균(78.2)을 웃도는 업종은 10개에 불과 했으며 이 중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ㆍ시계업종만이 유일하게 기준치(100)에 가장 근접한 94.0을 기록했다.
부문별로도 기업규모ㆍ유형별은 물론 공업구조별로 모두 전월대비 큰 폭의 하락을 전망했다.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84.0→74.5)이 전월대비 9.5P 하락해 8.6P 하락한 중기업(95.3→86.7)보다 체감경기 하락 폭이 컸다.
기업유형별로는 일반제조업 업황(86.1→76.2)이 전월대비 9.9P 하락했으며 혁신형제조업 업황(95.0→89.2)도 5.8P 떨어졌다. 또한 중화학공업(91.5→82.8)은 8.7P 하락했고 경공업(82.8→72.8)도 10P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