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독립운동가 안공근(安恭根)선생
7월의 독립운동가 안공근(安恭根)선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인애국단을 이끈 중심인물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중국 상해에서 독립운동 촉성회를 결성하고, 김구 선생과 함께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일제 요인 및 친일파를 암살하고, 한인군관학교를 설치하여 독립군을 양성하는 등 1920~1930년대 무장투쟁에 앞장선 안공근 선생의 공훈을 기리고자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선생은 1889년 7월 황해도 신천군에서 안태훈 진사와 조씨 사이에서 3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나 독립운동사의 큰 인물인 친형 안중근(1879~1910), 안정근(1884~1949)과 함께 성장하였고 경성사범학교를 졸업 후 진남포 공립보통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안중근의거 직후에 망명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1910년 러시아로 망명한 선생은 형 안중근 의사의 뜻에 따라 러시아어를 배웠고 1921년 7월 임시정부 최초의 러시아대사가 되어 독립자금 확보를 위해 외교를 벌였으며 상해 교민단, 독립운동 촉성회, 한국독립당 등 다양한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선생은 1931년 김구선생과 함께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듬해 ‘이봉창의거’와 ‘윤봉길의거’ 등을 이루어 냈고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내에 설치된 한인특별반 및 후신인 한국특무대독립군의 운영을 맡아 활동하던 중 1939년 5월30일 장렬히 생애를 마감하였다.

선생의 항일투쟁 업적을 기려 정부에서는 1995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