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이 반대하면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대운하 추진 기관인 국토해양부도 운하사업준비단을 해체하고 5개 국책연구기관에 발주한 대운하 연구용역도 중단키로 했다. 국토해양부는 “정부가 민간제안서를 검토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것을 건설사들에 우선 알릴 것”이라며 “민간에서 제안을 하더라도 받지 않을 계획”이라고 ‘폐업선언’을 했다.
대통령과 정부의 ‘대운하 철회’에도 불구, ‘대운하 관련주’로 불리는 주식들이 최근 급등세를 타고 이 대통령의 측근이 “대운하는 폐기된 게 아니라 중단된 것”이라는 발언을 하며 ‘대운하 부활론’에 불을 지피고 있다.
정부 계획 줄줄이 문 닫아도 대운하 관련주 급등세
‘리틀MB’ 백성운 “대운하는 폐기 아니라 중단된 것”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날 이화공영, 특수건설, 자연과환경, 울트라건설 등 ‘대운하 관련주’의 주가는 가격 제한폭까지 치솟았다. 토목건설회사 이화공영은 지난달 26일 이후 4거래일 연속 상한가 행진을 벌였고 지하구조물 건설업체인 특수건설과 환경생태복원기업 자연과환경은 3거래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또 삼호개발·삼목정공·동신건설·홈센타 등의 건설·토목주들도 주가가 뛰었다.
지난달 19일 이 대통령 기자회견 후 급락했다 지난달 26일을 기점으로 일제히 반등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은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진원지로 지목하고 있다. 김범일 대구시장이 “낙동강운하 건설은 대운하와는 관계없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힌 것이나 안상수 인천시장의 “경인운하를 반드시 완성시켜야 한다”며 정부에 지원을 공개 요청한 것이 루머를 부추겼다는 것.
또한 이 대통령이 “소득 3만~4만 달러 시대가 되면 모두가 물길을 찾아오는 수상관광이 중점이 된다”며 대운하에 미련이 남는 듯한 발언을 한 데 이어 측근인 백성운 한나라당 의원이 “대운하는 폐기된 것이 아니라 현재로서 중단된 상태”라고 말한 것이 결정적이었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백 의원은 “국토해양부에서 후속조치로 여러 가지 용역 계획이라든지 TF팀 자체를 해체하는 등 지금은 엄연히 중단된 상태”라며 “반대를 무릅쓰고 한반도 대운하를 밀어붙이는 일은 분명히 없을 것”이라고 ‘대운하 부활’ 논란에 선을 그으면서도 “다만 강을 정비하고 뱃길을 살려나가는 일, 이건 운하와는 별개로 해 나가야 할 숙원사업”이라고 역설했다.
야권은 “이 대통령이 ‘국민이 반대하면’이라는 불필요한 단서를 붙인 것은 마지막 1%의 가능성이라도 살려놓겠다는 지독한 집착”이라며 “대운하에 대한 국민의 반대 의사는 더 이상 물을 필요조차 없다. 조건 달지 말고 대통령은 즉각 대운하 포기선언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성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