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민주당’ 마당서 新동교동계 뛰다
‘도로 민주당’ 마당서 新동교동계 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교동계 세대고체 힘 얻는 내막

‘도로 민주당’에 옛 주인의 그림자가 넘실대고 있다. 대선과 총선을 지내며 영향력이 현격히 줄어진 김대중 전 대통령이지만 아직까지 그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는 없다. 또한 전당대회를 거치며 민주당 새 지도부 구성에 옛 민주계가 선전하며 ‘동교동계’가 다시금 거론되고 있다. 옛 민주계의 주류를 동교동계가 장악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세균 당 대표의 화합행보와 박지원 등 동교동계 핵심 인물의 복당 논의로 ‘동교동계’는 활기를 찾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민주당 지도부 신(新)주류 한자락 ‘동교동계’가 잡았다
대선·총선 지나며 결속력 약해져…세대교체 진행 중

민주당 지도부 개편에서 옛 민주계가 부상하고 있다. ‘동교동계’를 대표하는 김민석·박주선 의원이 신임 최고위원에 당선된 데 이어 민주당 소속 18대 국회의원 중 최연소인 김유정 비례대표 의원이 당 공동대변인에 내정된 것. 이를 두고 옛 민주계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동교동계에 부활의 불씨가 당겨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부활 시동거는 동교동계

동교동계는 대선과 총선을 거치며 정치력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정권 재창출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호남에서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향력도 예전만 못하게 됐다.

또한 대선에서 서로 다른 후보를 지원하며 결속력도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뜻’을 자처했지만 ‘햇볕정책’ 이외의 부분에서는 서로 각자의 뜻대로 움직였다는 것. 이는 동교동계가 예전과 같은 계파로써의 확고한 응집력은 보여주지 못하게 됐다는 말이기도 하다.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동교동계가 더 이상 이전의 ‘동교동계’가 아니라는 말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실제 지난 전당대회에서 동교동계는 직접적 지원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추미애 의원에게 힘을 실어줬지만 그 지원이 대대적이지는 않았다는 게 정치권의 전언이다. 또한 일각에서는 정세균 대표를 지원했다는 말이 떠돌기 해 동교동계 내부적으로 당 대표 지원사격 대상이 통일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정세균 당 대표의 화합형 행보와 새 지도부에서 구 민주계의 발탁으로 동교동계는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정 대표는 민주당 새 지도부와 김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이 자리에서 김 전 대통령은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김대중과 노무현 지지자들을 다시 우리의 지지층으로 하늘같이 모시고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는 것”이라며 전통적 지지층 복원을 민주당의 당면과제라고 강조했다.

뉴 페이스로 재정비

뒷전으로 밀려났던 동교동계의 부상은 ‘세대교체’와도 관련이 있다. 김민석·박주선 최고위원과 김유정 공동대변인 내정자 등 한층 젊은 인재들이 동교동계의 전면에 서게 된 것. 이는 동교동계가 새로운 날개짓을 위한 깃털 고르기에 성공한 것으로도 평가된다.

지난 총선 동교동계가 전폭적 지지를 아끼지 않았던 박지원 전 비서실장과 김 전 대통령 차남 김홍업 의원, 한화갑 전 옛 민주당 대표 중 박 전 실장만이 유일하게 금배지를 차는 등 ‘구 동교동계’에 대한 실망은 확연했다.

또한 동교동계 핵심인사로 열린우리당 창당에는 동참하지 않았으나 막판 대통합민주신당 창당 시 민주당 동교동계 인사들을 이끌고 구 민주당을 탈당했던 정균환 전 최고위원은 낙선했다.

대신 마지막까지 민주당에 남았다가 합당으로 합류했던 김민석, 박주선 의원은 최고위원으로 선출, 구 민주계의 간판이 됐다.

김 최고위원은 김 전 대통령의 총애를 받았던 ‘동교동계의 막내’다. 그는 정치적 역경을 견디고 ‘화려한 부활’을 했다. 김 전 대통령으로부터 “역사를 함께 쓸 사람”이라는 극찬까지 받았던 박 최고위원은 ‘새번 구속, 세 번 무죄’타이틀을 견디고 지난 총선, 광주 동구로 지역구를 옮겨 전구 최고득표율(88.7%)로 국회의원 당선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김유정 의원은 총선에서 박상천 전 공동대표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상천 전 공동대표도 민주당 몫의 국회부의장 자리를 놓고 문희상 의원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등 지난 기간 절치부심해온 동교동계로서는 이번 호기를 놓치지 않고 당 내 세력구축 및 확정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계산이다.

박지원 의원의 복당도 수면 아래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을 두고 ‘도로 민주당’으로 돌아가니 ‘도로 동교동계’가 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동교동계의 부상에 대한 뒷말도 무성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