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7일 독도문제와 관련 “나는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다 감옥까지 갔던 6.3세대다. 그러나 우리가 일시적으로 흥분해 강경대응을 하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라면서 “보다 장기적 안목에서 치밀하게 전략적 대응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외교안보 분야 원로 전문가들의 모임인 서울포럼 회원들과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대외관계 기조로 설정한 ‘실용주의‘의 진의가 무엇이냐는 한 참석자의 질문에 대해 “한반도에서 이념 싸움은 끝났다는 의미이다. 이념논쟁을 접고 오직 국익을 위해 정책을 펴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참석자들은 기후변화, 지구 온난화 문제와 관련해 “국민적 콘센서스(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들도 원칙론에는 동의하다가도 막상 구체적인 방안에 들어가면 부담스러워 꺼리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에너지 기후변화에 대한 능동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 국민들도 에너지를 절감하는 생활문화 캠페인에 동참했으면 좋겠다”는 제안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위기가 기회”라며 “기업들이 에너지 효율과 절감 기술을 개발해 미래의 성장동력, 경쟁력을 키워주었으면 좋겠다. 기업들의 자발적인 탄소감축 노력이 필요하며 저탄소 사회를 위해 기후변화 기본법등을 만들어 제도적인 뒷받침을 하려 한다”고 답했다.
참석자중 이동복 북한 민주화포럼 상임대표는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사건은 진상규명뿐 아니라 책임자 처벌과 사과 및 보상 그리고 재발방지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중국이 부상하고 일본이 재무장하고 러시아가 극동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강대국 속에서 우리가 생존해나가려면 미국과의 동맹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고 청와대는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