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는 한국땅"
"대마도는 한국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들불'처럼 번지는 대마도 찾기
‘일본이 계속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우기면, 우리도 대마도 되찾아 오자’. 일본 정부가 중학교 사회과목 해설서에 독도 영유권을 표기하기로 발표하자, ‘눈에 눈, 이에는 이’라며 ‘대마도 찾기’ 운동이 활발히 거론되고 있다.

역사학자들도 “대마도는 ‘잃어버린 우리의 땅’”이라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도 대마도가 조선땅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여러 학술자료를 근거로 ‘대마도 찾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성종때의 황희 정승은 “대마도는 예로부터 우리땅으로 고려말기에 국가기강이 허물어져 도적의 침입을 막지 못해 왜구가 웅거하게 됐다”고 말했고, ‘동국여지승람’에는 “대마도가 경상도 계림땅에 예속됐다”고 했으며, 영조때 실학자 안정복은 “대마도는 우리의 부속도서로 신라, 고려이래로 우리의 속도(속한 섬)로 대해 왔다”고 한다.

또 정치권에서도 독도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하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지난 7월17일 부산시당 위원장을 맡고 있는 한나라당 김정훈 의원은 10여명의 소속 의원들과 함께 일본의 독도관련 망언을 규탄하는 한편, 가칭 ‘대마도 역사연구회’를 발족했다. 김 의원은 “대마도의 역사적 진실을 밝혀 대한민국 영토인지 확인 하겠다”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토 관련법 개정안을 제출하고 우리 교과서도 수정할 부분은 수정 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이승만 대통령도 대마도가 한국땅이라는 사실을 당당하게 선포한 적도 있다. 지난 7월3일 일본 NHK방송에 따르면 1948년과 1949년 이승만 대통령이 두차례에 걸쳐 대마도가 한국령이라고 주장을 펼쳤지만 일본 정부가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러나 사실 당시 일본 정부는 커다란 위기감을 가졌으며, 만일 ‘유엔이 이를 승인하면 (대마도가) 일본 영토에서 제외된다’며 대응책을 모색한 외무성 극비문서도 존재했음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