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언론의 신뢰,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
우리 언론의 신뢰,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YTN 사장 선임과 쇠고기 수입 보도와 관련하여

최근 YTN은 구본홍 사장 선임이 낙하산 인사라는 이유로 언론노조의 출근 저지 투쟁과 시민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있다. 그런 가운데 YTN 노조는 홍상표 보도국장과 진상옥 경영기획실장의 사퇴까지도 동시에 촉구하고 있는 형국이다. 낙하산 인사로는 언론의 공정성을 지킬 수 없다는 이유에서일 것이다.

또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대미 쇠고기 수입 보도와 관련하여 저널리즘 간의 진실보도와 언론의 공정성 문제로 서로 감정싸움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심지어 정파성까지 등에 업고 싸움에 나서는 언론을 보고 있노라면 민주사회의 공론장인 저널리즘의 기능이 또 한 번의 위기를 맞는 듯하여 역겹기까지 하다.

그렇지 않아도 우리 언론은 기자들 스스로부터나 국민들로부터 거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우리 언론의 현실이다. 이러한 저널리즘의 위기가 실제로 얼마나 심각한가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증거는 다름 아닌 저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우선 찾을 수 있다.

한국기자협회가 2006년 8월, 전국기자들을 대상으로 여론 조사한 결과를 보면 취재 현장기자들 스스로가 한국 신문과 방송에 대해 신뢰가 높지 않다는 사실을 드러내 주었다.

기자들에게 ‘신뢰하는 언론사’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없다’가 45.0%, 한겨레가 15.0%, KBS가 12.3%, MBC가 5.0%, 경향신문이 5.0%, 조선일보가 4.0%, 중앙일보가 3.7%, 기타가 10.0%라고 응답했다. ‘신뢰할만한 언론사가 없다’는 것이 전체 기자들의 생각이다.

또한 저널리즘의 위기가 실제로 얼마나 심각한가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증거는 다름 아닌 수용자(민중)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찾을 수 있다.

한국언론재단이 2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해온 수용자 의식조사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2004)를 보면, 민중의 언론 신뢰도가 매우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2년도에 언론을 ‘대체로 매우 신뢰한다’는 2002년 0.9%에서 2004년도에는 0.2%, ‘대체로 신뢰한다’가 2002년 24.4%에서 2004년도에는 19.3%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다’가 2002년 28.8%에서 2004년도에는 48.8%였으며,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가 2002년 46.0%, 2004년도에는 32.2%로 나타나 민중의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현저하게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즉 기자들 스스로가 저널리즘을 불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국민들이 저널리즘을 신뢰하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언론의 현실은 끊임없는 오보 시비, 허위∙과장보도로 인한 인권침해, 출처불명의 인용, 보도와 논평에서 정파성과 편향성을 일삼고 있다.

일례로 최근 촛불집회에 대한 보도를 보더라도 민중의 순수한 위대함과 다양성은 바로 국민의 강한 힘임에도 민중의 숭고한 뜻을 반영하는 데는 매우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랑스의 명문지 <르 몽드>를 창간하고 초대 편집장이었던 뵈브 메리는 “진실을, 모든 진실을, 오직 진실만을 말하라. 바보 같은 진실은 바보같이 말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진실은 마음에 들지 않게 말하고, 슬픈 진실은 슬프게 말하라”고 진실되고 공정하게 보도하는 것이 언론의 본질임을 웅변하고 있다. 진실과 공정성은 바로 저널리즘의 존재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사들의 저널리즘의 기능 복원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저널리즘 위기는 저널리즘 위기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위기인 기사의 위기에서 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의 저널리즘 간의 싸움(?)도 진실보도와 공정성에 얽힌 문제다.

2004년 한국언론재단의 수용자가 보는 언론의 공정성에 대한 평가를 보면 더더욱 잘 알 수 있다. ‘공정하다’가 12.0%에 불과하며 ‘보통이다’가 41.0%, ‘공정하지 않다’가 무려 46.7%나 되었다.

과연 이 대통령의 언론특보를 지낸 사람이 언론의 공정성과 진실보도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도 언론노조 측에서는 언급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왜 하필 언론특보를 지낸 사람을 이 시기에 임명해야 하는 것인지, 언론의 공정성을 떠나 임명의 공정성부터 결여된 것은 분명한 듯하다.

저널리즘의 궁극적 목적은 바람직한 공동체 건설을 위하는 데 있다. 따라서 저널리즘은 민중을 위한 것이고 민주주의를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현 정권이 올바른 공동체 건설을 원하고 진정한 자유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다면 언론 스스로 공정해질 수 있도록 독려하고 지켜봐 주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혹여나 언론 장악 의도가 있다면 이 정권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은 물론 나아가 정권의 위기까지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최근 유엔인권선언 60주년을 기념해 경향신문이 미국 메리랜드대학의 국제여론조사기관인 세계여론네트워크(WPON) 및 한국 동아시아연구원(EAI)과 공동으로 실시한 ‘민주주의 위기’에 대한 여론조사결과(‘08.5.13일 발표)를 보면 한국인이 한국 정부를 신뢰하는 비율이 18%로 나타나 조사된 세계 19개국 중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의 의미를 현 정부는 깊이 깨달아야 할 것이다.

아무튼 언론은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하며 부정∙비리를 들추어 내 사회에 고발함으로써 국가∙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본연의 기능이다. 이러한 막중한 힘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힘에 상응한 언론 특유의 진실과 공정이 뒤따라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