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2012 위한 정치인 양성 ‘승부는 이제부터다’
5~7명 대선후보군 관심 증폭…야당 잠룡은 누구?
“2010년 총선과 2012년 대선을 준비는 지금부터해도 빠르지 않다.” 민주당 내부에서 ‘스타’를 찾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다.
판 뒤엎기 이미 시작
당 대표 경선부터 ‘정권 재탈환’의 준비 작업을 강조해 온 강재섭 대표는 ‘인재 영입’과 ‘양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가 심열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1만 인재 양성 프로젝트’와 ‘스타 프로젝트’.
‘1만 인재 양성 프로젝트’는 2010년 총선에서 민주당의 이름을 걸고 나설 인재 1만명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당은 이를 위해 조만간 인재영입위원회를 꾸려 지방선거에 대비한 인재영입을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비해 ‘스타 프로젝트’는 단출하다. 5∼7명의 대선후보군을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 대선후보군을 형성한 후 당 지도부 차원에서 기회를 주는 등 가능성 있는 이들을 차기 잠룡으로 키워간다는 것이 ‘스타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당 지도부의 조율 아래 흠집을 내는 소모전이 아니라 선의의 경쟁을 통해 서로의 성장을 도움으로써 민주당의 파이를 키우겠다는 의도도 포함돼 있다.
정세균 대표는 “지금은 당을 제대로 건설하고 역량있는 정당으로 만드는 데 전념할 때”라며 ‘스타 프로젝트’ 가동에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여당일 때는 대통령의 그늘이 있기 때문에 정치인이 크기 힘들지만 야당이 된 이상 골을 찰 ‘공격수’가 가능해 빠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실제 ‘스타’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일당백’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을 정도다. 한나라당에서 차기 대권을 노리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의 경우 개인의 ‘맨 파워’로 총선에서 ‘친박열풍’을 일으킨 바 있다. 2012년만 보고 느긋했다가는 2010년에 눈물을 흘리고 2012년에는 통곡을 할 판이다.
총선이나 대선은 물론 당의 지지율 반등을 위해서도 ‘스타’의 탄생이 절실하다. 정 대표는 “당이 토양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스타가 안 크고 스타가 없으면 당 지지율이 안 올라간다”며 당과 스타급 정치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라도 ‘정적’도 끌어안겠다는 태도다. 당 내에서는 정 대표와 추미애 의원을 두고 ‘함께 갈 수 없는 사이’라는 말이 나돈다. 쌓인 골이 만만찮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 대표는 “추미애 의원은 대표 경선을 했는데 지명직 최고위원은 적절한 예우가 아니라고 본다”면서 “대선 후보군, 스타 5∼7명 양성하는 ‘스타프로젝트’가 있다. 거기에 참여하는 게 좋겠다”며 추 의원을 ‘스타 프로젝트’의 일인으로 내세웠다.
‘뉴 페이스’ 어디있나

‘친노’의 기반을 이은 안희정 최고위원도 욱일승천의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 영남지역에서 나올 ‘지명직 최고위원’도 변수다.
당 외 인사들에서도 ‘스타’ 탄생이 고려되고 있다. 범민주 진영 등에서 외부 인재를 영입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것. 또한 지난 대선 후보로 뛰어 들었던 정동영 전 장관과 손학규 전 대표의 ‘귀환’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