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제63주년 광복절을 맞아 대한민국임시정부 탄생의 산파역을 맡고 신간회 총무간사 등으로 활약한 이춘숙(李春塾) 선생을 비롯해 17세의 어린나이로 독립운동에 참여하다 자결 순국한 소년 독립유공자 고덕봉(高德鳳) 선생, 도산 안창호 선생의 배우자인 이혜련(李惠鍊) 여사 등 361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를 훈격별로 살펴보면 건국훈장 166명(독립장 2명, 애국장 59명, 애족장 105명), 건국포장 65명, 대통령 표창 130명으로 생존자는 4명이고 여성도 10명에 이른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분은 건국훈장 8,652명(대한민국장 30명, 대통령장 93명, 독립장 797명, 애국장 3,426명, 애족장 4,306명), 건국포장 763명, 대통령표창 1,984명으로 모두 11,399명에 달하며, 외국인 포상자도 45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훈장은 국내거주자는 제63주년 광복절 및 대한민국 건국 60년 중앙경축식장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되는 경축식장에서, 국외거주자는 재외공관을 통해 본인과 유족에게 전수된다. 유족이 확인되지 않는 분의 훈장은 정부에서 보관하였다가 '훈장 찾아주기 운동' 전개 등을 통해 유족이 확인되면 전수하게 된다.
전체 포상자 361명 중 정부가 발굴 포상하게 되는 280명(78%)은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당시의 판결문, 각 읍·면·동사무소에 보관되어 있는 수형인 명부, 그리고 신문보도 기사와 현지조사 등을 통하여 자료를 직접 찾아 포상하게 됐다.
이번 제63주년 광복절 계기 포상은 역사학 전공자로 구성된 국가보훈처 전문사료발굴·분석단이 3,026건의 독립유공 심사대상자에 대해 자료를 분석하고 보완하여 이들 가운데 독립운동 공적이 확인된 709건에 대해 독립유공자서훈공적심사위원회의 3개 분과별 위원회와 제2심사위원회, 합동심사위원회 등 총 17차례의 심도 있는 심사를 거쳐 이루어졌다.
전문사료발굴·분석단에서는 판결문, 수형인명부 등의 행형자료 5,549건, 중국의 당안자료인 '토죄봉성집안현관공리문서(討罪奉省輯安縣官公吏文書)', 대만에서 수집한 '일병입경혼춘현경내피해간민휼금핵정서(日兵入境琿春縣境內被害墾民·金核定書)' 등의 해외자료, 독립신문, 매일신보 등의 신문자료, 일제의 의병 탄압자료인 <폭도에 관한 편책> 등 국내외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군 활동 중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된 이태섭 선생 등 23명의 공적을 새롭게 발굴, 포상하였다.
또한 의용단원으로 활동한 이휘환 선생 등 38명은 종래 수형여부 등 입증자료가 불충분하여 포상이 보류되어 왔으나 금번 자료 발굴을 통해 입증자료가 보완됨으로써 포상하게 되었다. 동일인 여부가 불분명하였던 박원경 선생은 경찰청에 지문감식을 의뢰하여 동일인임이 확인됨으로써 애족장에 서훈된 경우이다. 그 외에도 석창건 선생은 현지조사와 자료보완을 통해 자료상의 인물과 동일인임이 확인되어 애족장에 서훈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발굴포상자 280명 가운데 119명은 판결문 등의 공적 입증자료를 발굴한 후 다시 시(구)·읍·면·동사무소의 협조를 받아 제적등본, 주민등록등본 등을 역 추적하여 후손을 일일이 확인하여 포상함으로써 보훈행정의 신뢰를 제고함은 물론 독립유공자의 명예선양과 후손들이 자긍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