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영토주권 문제, 단호하고 냉철하게 대처”
이 대통령 “영토주권 문제, 단호하고 냉철하게 대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도연구소 개소…“치밀한 대응” 주문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독도를 포함한 영토 주권과 관련해서 대통령으로서 단호하고 냉철한 의지를 가지고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독도연구소 개소식에 참석한 국내외 인사를 청와대로 초청해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명백히 우리 영토이며, 영토의 보전은 대한민국 헌법이 대통령에게 부여한 책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월19일 “독도문제는 단호하게 대응하되, 즉흥적이고 일회적인 강경대응에 그칠 것이 아니라 보다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치밀하게 대응하여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동북아역사재단에 독도연구소를 설치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독도연구소 출범을 노력한 관계자의 노고를 치하하고,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해 헌신하고 있는 국내외 인사들의 활동을 격려했다.

이 대통령은 “(독도 문제는)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치밀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우호적인 국제 여론의 조성도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이러한 역할을 새롭게 출범한 독도연구소가 맡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간담회 참석들에게 “독도 영토를 수호하는 데 정부와 민간이 따로 있을 수 없고, 우리 모두가 독도지킴이가 될 때 독도는 그 누구도 넘보지 못할 것”이라며, 독도 수호를 위해 모두가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간담회에는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과 김용덕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김현수 초대 독도연구소 소장, 김관용 경상북도 지사, 독도 주민 김성도씨, 박춘호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이진명 프랑스 리옹3대학 교수, 신현웅 독도보존미주위원회 위원장, 김영기 조지워싱톤대 교수, 서경덕 씨, 박기태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VANK) 단장과 회원, 독도지킴이 협력학교 교사와 학생 대표 등 20명이 참석했다.

한편, 독도연구소는 서울 서대문구 의주로에 위치한 동북아역사재단에 설치됐다.

지금까지 동북아역사재단은 일본을 포함한 해양 영토 분쟁과 국제법을 담당하는 제3연구실에서 독도 문제를 함께 다뤄 왔지만, 앞으로는 독도연구소가 독도에 대해 전문적으로 연구, 조사하고 홍보도 하게 된다.

독도연구소는 △독도와 관련된 대외 전략을 만들어 실행하는 정책대응팀(1팀) △국제법적으로 독도의 영유권을 공고히 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조사연구팀(2팀) △국내외 기관 및 자료를 대상으로 독도의 명칭 등 각종 오류를 바로잡고 독도를 홍보하는 대외협력팀(3팀) 등 3개 조직으로 운영된다. 독도전담인력은 기존 8명(제3연구실)에서 23명으로 확대됐다.

독도연구소는 앞으로 △독도관련 연구기관 총괄 및 조정 △독도관련 전략 정책 개발 △독도 영유권 강화방안 마련 연구조사 △독도 관련 홍보·교육 및 오류시정 사업 등의 활동을 하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