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순(尹熙順) 의사는 1860년 6월25일 서울에서 아버지 윤익상(尹翼商) 선생과 어머니 평해 황씨의 큰 딸로 태어났다. 유학자 집안에서 나고 자란 의사는 16세 되던 1876년에 춘천의병장 외당(畏堂) 류홍석(柳弘錫)의 큰 아들이자, 팔도창의대장 의암 류인석의 조카인 류제원(柳濟遠)과 결혼하였다.
일본이 1895년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1896년 단발령을 발표하자 의사는 나라를 구하는데 남녀의 구별이 없으며 여자들도 의병에 참여하고 의병대를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며 ‘안사람 의병가’ 등 의병가를 지어 여성들의 의병활동을 촉구하였다.
1907년 일제가 고종황제를 폐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자 의사는 군자금을 모아 가정리 여의내골에서 놋쇠와 구리를 구입하고 탄환, 유황 등으로 화승총에 쓸 화약을 직접 제작·공급하는 탄약제조소를 운영하였다. 또한 여자의병 30여 명을 모집하여 의병의 취사와 세탁을 도맡아하는 한편, 직접 의병훈련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비록 의사는 직접 의병전투에 참가하지는 못했지만 후방에서 그들을 적극 지원하며 의병운동에 힘을 쏟았다. 특히 관군과 일본군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밀고자를 꾸짖고 청년과 여성들에게 의병운동에 나설 것을 주장하며 8편의 의병가와 4편의 경고문을 남겼는데 이는 최초의 한글의병가이자 민족저항시가로, 많은 사람들의 항일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데 기여하였다.

1911년 중국으로 망명한 의사는 국권회복을 위한 항일인재를 양성하고자 환인현에 노학당(勞學堂)을 설립하였다. 의사는 교장으로 활동하며 학교운영자금을 모으는데 힘을 쏟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국인과 중국인들에게 항일애국노래를 가르쳐주기도 하였다. 의사의 노력으로 양성된 50여 명의 항일운동가는 요동일대를 중심으로 일제에 맞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일제의 탄압으로 노학당이 폐교되자 의사는 무순(撫順)의 포가둔으로 이주하고 중국인들과 힘을 합쳐 한중연합단체인 조선독립단을 조직하였다. 1926년에는 항일인재를 양성하고자 조선독립단 학교를 설립하고 조선독립단 가족부대를 만들고 직접 군사훈련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3대에 걸쳐 의병활동을 뒷바라지 하고 스스로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의사는 선대의 투철한 항일애국정신을 후대에 알리고자 <서정록>을 저술하고 1935년 8월1일 75세를 일기로 순국하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