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름세 둔화…8월 전월대비 0.2% 내려
물가 오름세 둔화…8월 전월대비 0.2% 내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유류가 하락 주도…전년동월 대비로는 5.6% 상승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증가세가 둔화됐다.

통계청은 1일 “8월 소비자물가는 전월에 비해 0.2% 하락했고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6%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월 대비 소비자물가가 하락세를 보인 것은 2006년 11월(-0.5%) 이후 1년 9개월만에 처음이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들어 2월 3.6%, 3월 3.9%, 4월 4.1%, 5월 4.9%, 6월 5.5%, 7월 5.9% 등으로 증가폭이 커지다 8월 들어 둔화됐다.

이와 관련, 송성헌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석유류 물가가 전월대비 6.0% 하락했다”면서 “금반지나 밀가루 가격이 조금씩 내린 것도 있지만 하여간 석유류가 물가 하락을 주도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부문별 물가동향을 보면, 전월에 비해 △식료품·비주류음료 △주류·담배 △의복·신발 △교양·오락 △외식·숙박은 상승했고 △교통 △기타잡비는 하락했으며, 그 외는 보합이었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2.3%, 전년동월대비 3.5% 각각 상승했고,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1.4% 하락, 전년동월대비 9.7% 상승, 서비스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0% 각각 상승했다.

품목별 상승률을 살펴보면 농축수산물 중에서는 돼지고기(25.8%), 쌀(5.5%), 조기(26.1%) 등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올랐지만 배추(-13.4%), 무(-25.7%)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휘발유(17.2%), 경유(36.7%), 등유(54.6%), 금반지(35.5%), 자동차용 LPG(40.2%) 등의 상승폭이 컸다. 반면 컴퓨터(-14.1%), TV(-13.7%) 등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세는 전세가 2.7%, 월세가 1.9% 각각 올랐으며, 공공서비스 중에서는 도시가스(7.6%), 국공립대 납입금(7.9%) 등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개인서비스 품목에서는 사립대 납입금(7.2%), 해외 단체여행비(17.9%), 보육시설이용료(6.6%), 김밥(22.3%), 삼겹살(10%), 종합반 대입학원비(7.2%), 미용료(7.2%)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생활물가지수는 전월에 비해서는 0.4% 떨어졌고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6.6%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 증가폭 역시 6월(7.0%), 7월(7.1%)에 비해서는 다소 감소했다.

생선류·채소류·과실류 등을 대상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1% 하락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4.7% 올랐다.

한편 16개 시·도별 전월대비 물가 동향을 보면, 부산 외 나머지 지역은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 대구, 울산은 전도시 평균(-0.2%)보다 작게 하락했으나 대전,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제주도는 평균 이상 하락했다.

정부가 가격을 집중관리하는 주요 생필품 52개 중에서는 전월에 비해 23개 품목이 올랐고 12개는 하락했으며 17개는 변동이 없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