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4일 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중단 및 복구작업 개시와 관련, “북한은 일방적인 조치를 삼가야 하고 현재 진행 중인 검증 협상에 성실히 임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6자회담 당사국 모두가 비핵화 2단계 마무리를 위해 더욱 공동의 노력을 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이런 사태가 불거진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조치”라며 이같이 말했다.
유 장관은 또 “검증 등 6자회담 과정에 차질이 발생하면 모두에게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를 위해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조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불능화 복구 작업 착수와 관련해 한미 양국 당국자들이 인식 차를 보이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과 관련, 유 장관은 “한미 양국은 이번 사안과 관련 사실관계 확인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상황을 협의하고 있다”면서 “한미간 인식 차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의 핵시설 복구로 대북 에너지 지원에 차질을 줄 가능성에 대해 “더 상황을 봐가면서 해나가겠다”면서도 “현재로선 계획(10월말까지 지원 완료)대로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한일 관계와 관련, “2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성숙한 동반자관계를 지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일본의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문제(독도영유권 표기)로 인해 이런 추진이 여의치 않았다. 일본이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줄 것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중일 3국 정상회담 개최 문제와 관련, 유 장관은 자민당 총재 선거 일정(22일) 등 일본 국내일정을 언급한 뒤 “3국 정상회담은 일본의 새 총리가 결정된 뒤 구체적 일정이 정해지게 될 것이며, 일본측으로부터 연기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전달받았다”면서 “현재로선 언제라고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명박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에 앞서 오는 9~11일 러시아를 방문할 계획이며 러시아 방문 직후 몽골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