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산하기관 개인정보 관리 실태 일제 점검
복지부 산하기관 개인정보 관리 실태 일제 점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이버안전센터 구축 등 추진키로

보건복지가족부는 정보보호업체 전문가와 함께 개인정보보호 관리실태 특별점검 등 소관분야 주요 소속기관 및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를 강화 작업에 나선다.

복지부는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심사평가원, 대한적십자사, 질병관리본부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량 보유한 기관들부터 올해 우선 점검하고 나머지 기관도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올해는 이달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정보보호 전문가를 동원해 특별점검이 이뤄진다.

그동안의 감사 및 점검 등에 대한 지적사항의 개선 이행여부, 개인정보 수집, 이용·제공 등 처리주기별 준수사항 이행여부, 대량의 민감한 정보의 관리실태,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보안대책 적용의 적정성 등을 심도 있게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복지부는 ‘보건복지가족 사이버안전센터’를 구축해 해킹 등 외부로부터의 사이버침해에 대한 예방 및 대응 활동을 통한 개인정보보호를 더욱 확고하게 할 예정이다.

총 40여억 원을 들여 복지부와 복지부 소속 주요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해 경기도 수원에 건립되는 사이버안전센터는 지난 8월 사업자를 선정하고 이달 초 착수해 올 12월 중 완료될 예정으로 내년 초부터는 복지부 소속기관 및 소속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침해에 대비한 관제서비스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사이버안전센터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내년부터는 복지부는 물론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등 총 31여 개의 소속·산하기관의 개인정보가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개인정보를 다량 보유한 주요기관은 ‘개인정보보호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운영을 확대할 예정이다.

개인정보 상시모니터링 체계란 개인정보 보유기관의 업무담당자가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관련업무 처리 시(입력, 저장, 편집, 검색, 삭제 등) 처리한 정보가 일정 기간 동안 정보시스템에 자동 보관되고 동 정보를 통해 업무목적외의 조회 등을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상시모니터링 체계 구축기관을 건보공단 등 기존 3개 기관에서 대한적십자사와 질병관리본부 등을 추가해 5개 기관으로 확대하고 이미 구축한 기관에 대해서도 PC, 서버, USB메모리 등을 통해 개인정보가 포함된 주요자료의 유출 방지 기능을 추가토록 할 예정이라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