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C&그룹을 둘러싼 공기가 심상치 않다. C&상선의 주가가 하한선까지 추락하는가 하면 시장에는 심심치 않게 유동성 위기설이 돌고 있다. 이 단초는 지난 9월16일 C&상선이 한국서부발전과의 계약을 해지했다고 밝히면서 드러났다. 해지된 서부발전과의 계약규모는 684억원. 지난해 C&상선 매출의 43%에 이르는 규모다. 그동안 꾸준히 유동성 위기설이 거론됐던 C&그룹인 만큼 자칫 그룹 전반의 위기가 될지 않을지 우려가 깊어지는 상황이다.
복잡하게 얽힌 상호지급보증에 그룹전반에 위기확산 우려
최근 재계의 이슈가 M&A로 성장한 기업들의 부작용에 맞춰지고 있다. 적잖은 부채를 끌어안은 M&A가 유동성 위기로 드러나고 있다는 우려가 팽배한 탓이다. 이에 저마다 자산을 매각하는 등으로 적극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하고 나섰지만 역으로 위기감이 깊어가는 기업도 있다.
최근 유동성 위기설에 시달리는 C&그룹이 바로 그곳이다. C&그룹은 C&해운을 출발로 잇단 인수합병(M&A)에 성공하면서 C&상선, C&중공업, C&우방, 진도F& 등을 거느리는 그룹으로 성장했지만 최근 잇따른 악재에 수익창출력을 잃어가며 적잖은 우려를 받고 있다.
유동성 위기설 급부상
지난 9월16일 C&상선 공시에 따르면 C&상선이 5년간 계약을 채결했던 한국서부발전과 채결했던 발전용 유연탄 운송 계약이 해지됐다. 기존 5년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운임 조정이 성사되지 않아 계약을 해지하게 됐다는 것. 이에 C&상선은 계약해지에 대한 소송을 진행하고 있지만 업계의 시선은 썩 긍정적이지 않다.
서부발전과의 계약금액은 684억원으로 C&상선 지난해 매출인 1587억원의 43%에 이른다. 이 때문에 자칫 C&상선의 매출 타격이 유동성 위기로 이어지지 않겠냐는 업계의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C&그룹 관계자는 “계약이 해지에 관해 소송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사실 유가 상승 등으로 인해 중부발전의 거래물량은 장사 하면 할수록 적자가 나는 상태였다”고 밝혔다. 때문에 협의는 반드시 필요했다는 것이 C&그룹의 입장.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다른 목소리도 들려온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매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대형 계약 해지를 감안한다는 것은 어떻게 봐도 악재일 수밖에 없다”면서 “비교적 유가가 안정되고 있는 시국에 이 같은 해약이 벌어졌다는 것은 유가가 정상궤도에 올라온 이후에도 두고두고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이 같은 악재가 그룹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C&그룹은 계열사간의 상호지급보증 및 자금대여 등을 통해 그룹 내 계열사간 신용위험이 공유되어 있는 상황이다. 2008년 6월 기준으로 지급보증 305억원, 담보제공 120억원 및 대여금 273억원을 C&중공업에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C&그룹은 2008년 주요사 합산 기준으로 29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수익 창출이 시원치 않은 상태다. 평가사들은 C&중공업의 기존 컨테이너, 의류, 철강 부문이 계속적인 부진을 보이고 있고 향후 성장 전망 또한 불확실하다고 진단한 상태였다.
때문에 최근 C&그룹은 조선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는 모양새지만 여기에도 암초가 드리우고 있다.
C&그룹은 최근 자금사정의 여의치 않은데다가 1500억원의 대출마저 풀리지 않아 결국 지난해 8월 말부터 목포 제1조선소와 거제 제2조선소 건설 작업 및 선박 건조 작업을 중단했으며, 자금 마련을 위해 거제조선소 및 비주력 계열사를 매물로 내놨을 정도다.
각종 악재에 발만 동동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8월 C&상선의 제15회 무보증전환사채 신용등급을 B로 유지하며, 부정적 검토(Negative Review) 대상에 등록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기평은 “금번 신용등급 평가는 동사의 관계사인 C&중공업이 조기상환청구된 제132회 전환사채의 상환자금을 적기에 확보하지 못하면서 촉발된 그룹 전반적인 신인도 저하, 유동성 위험 확대 등의 부정적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 유동성 위기설이 나도는 배경에는 이 같은 C&그룹의 자금난이 존재했던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C&중공업이 조선수주 물량에 62척을 소화하기만 하면 이 같은 위기는 반전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조선소 설립마저 불확실한 상황인 만큼 신중한 행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