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9일 한국-러시아간 전략적 협력 기반 구축을 위해 철도·에너지·농업에서의 ‘3대 신(新) 실크로드’ 건설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모스크바에서 열린 한·러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양국간 경제협력을 강조하면서 ‘3대 신(新) 실크로드’ 건설 구상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먼저 ‘철(鐵)의 실크로드’를 제시했다.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횡단철도(TKR)의 연결로 태평양에서 유럽을 잇는 ‘철로의 대동맥’ 건설을 뜻한다.
이 대통령은 “이것이 완성되면 부산에서 유럽까지 해상 운송으로 40일이 걸리던 것이 20일로 줄게 된다”며, “또한 동서양의 문화와 삶이 소통하는 인류 평화의 루트이자 북한을 포함해 동북아 긴장을 완화시키는 기능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주변 지역의 도로와 공항, 항만 등 사회 인프라 구축으로 러시아와 한국은 실질적인 공동이익을 누릴 것”이라며 “아시아와 유럽을 철도로 연결하는 꿈, 그 꿈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두번 째로 ‘에너지 실크로드’를 강조했다. 에너지 실크로드는 러시아의 풍부한 에너지 자원과 한국의 기술력 및 인프라 건설 경험을 합쳐 시너지 효과를 발휘토록 하자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두 나라는 석유와 가스 개발의 협력을 통해 경제 전반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자신한 것도 에너지 분야에서 양국 간의 돈독한 협력 관계 구축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러시아는 천연가스의 안정적인 공급대상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한국은 경제성장의 관건인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기대하면서, 더 나아가 “유럽에서 러시아로만 한정됐던 에너지 연계 라인이 동북아 경제권을 포함하는 아시아까지 확대되면서, ‘유라시아 에너지 실크로드’가 형성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 대통령은 세번째로 ‘녹색 실크로드’ 구상을 밝히고, “러시아 연해주의 광활한 농림지에 우리의 영농기술과 효율적인 경영체계를 접목하면 ‘제2의 녹색혁명’을 기대할 수 있다”며 “조림산업과 농업 플랜테이션도 유망해 태평양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을 잇는 새로운 녹색 실크로드의 문이 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동북아 지역에 있어서 양국 간 경제협력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러시아가 한국과의 관계를 돈독히 한다는 것은 동북아 경제권에 러시아가 합류한다는 것을 뜻하며 마찬가지로 러시아가 계획하고 있는 동부권 지역개발에 한국이 동참한다는 의미도 된다”고 밝혔다. 또 “나아가 북한의 협력과 참여를 통해 북한 경제를 돕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는 한국·북한·러시아간 3각 협력체계의 기반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나는 외국 기업의 한국 투자를 위한 정책적 배려를 과감하게 하려고 한다”면서 투자를 요청한 뒤 “러시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여러 국가 산업의 발전에도 우리 기업이 동참할 수 있기를 적극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국 기업들은 시베리아 극동 지역의 진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피력하고, “풍부한 지하자원과 에너지를 가진 시베리아 극동지역은 양국이 협력하면 크게 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 사람의 머리도 충분하지만 두 사람의 머리를 맞대면 더 낫다’는 러시아 속담과 우리의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을 함께 언급하며 “두 나라 국민의 정서가 이렇게 통하는 것처럼, 두나라 기업이 같이 일한다면 크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국 간 실용적 경제협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