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중증장애인 대상 특채시험을 실시하는 등 중증장애인에 대한 공직 문호 확대에 나선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정부 최초로 실시하는 중증장애인 대상 특채시험에서 2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21개 부처에 25명을 선발할 예정인 이번 시험엔 총 708명이 응시했다. 행안부는 면접을 거쳐 12월19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행안부가 이처럼 중증장애인 대상 특채시험을 실시한 것은 장애인 중 중증장애인의 비율에 비해 행정기관에 근무하는 장애인 중 중증장애인의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올해 전체 등록장애인 210만4889명 중 중증장애인은 85만9045명으로 전체이 41%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올해 7월 현재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중증장애인은 589명으로 전체 장애인공무원 3488명의 17%에 불과하다. 매년 신규 공채시 장애인 구분모집제를 통해 선발예정인의 5% 이상을 장애인으로 선발하고 있는데 이중 중증장애인은 15% 내외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행안부는 자질과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에게 공직의 문호를 대폭확대하기로 했다. 공채시험에서도 중증장애인의 수험편의를 위해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점자문제지, 음성지원컴퓨터, 대필, 시간연장 등 맞춤형 지원을 실시했다.
행안부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2%에서 3%로 올라가는 내년부턴 장애인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행안부 주관으로 실시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특채를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도 실시하도록 지원하고 근무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구 등 편의시설을 사전에 파악해 제공할 계획이다.
또 임용전에 직무기술 향상프로그램 및 현장실습을 실시해 공직적응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장애인 구분모집도 현행 5% 수준에서 6% 이상으로 확대하는 등 모든 장애인에게 공직의 문호를 넓힐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러한 조치들이 중증장애인의 공직진출의 기회를 확대 제공함은 물론, 우리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사회참여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 올리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