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에도 RFID 적용…화물흐름 실시간 파악
물류에도 RFID 적용…화물흐름 실시간 파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류거점 160곳에 도입…연간 3194억 절감

정부가 최근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무선인식 기술(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을 내륙물류기지 등 전국의 주요 물류거점에 적용한다. 이에 따라 물류가시성이 확대되고 물류거점의 운영이 효율화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이를 위해 2012년까지 160여개 물류거점에 RFID 기반 물류거점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을 올해 안으로 착수한다고 17일 밝혔다. RFID란 사무렝 고유코드가 기록된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무선신호를 이용해 해당 사물의 정보를 인식·식별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번 사업은 내륙 컨테이너기지(Inland Container Depot)·복합화물터미널물류단지·공항·철도화물거점 등 주요 물류거점에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화물차량의 태그를 인식해 게이트를 자동화하고 차량 및 화물의 반출입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해 각종 물류업무에 활용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이같은 시스템을 주요 고속도로 톨게이트에도 도입해 물류의 가시성을 더욱 늘릴 예정이다.

이러한 물류 RFID도입사업이 완료되면 운송사, 물류거점 운영사 등 물류주체는 여러 가지 업무를 개선할 수 있다. 우선 물류거점 운영업체는 게이트자동화, 반출입 차량의 실시간 파악 등으로 운영 효율화를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운송사는 차량의 거점별 이동경로 추적을 통한 리드타임 단축, 차량관리 및 배차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고 화주 기업은 화물의 출발과 도착, 반입 등 화물 추적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신속하고 정확한 물류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 정부 및 기업은 물류가시성 확보를 통한 체계적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관련업무 및 의사결정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RFID 인프라 구축이 끝나면 연간 3194억원의 물류비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우선 12월 중 착수예정인 1단계 사업으로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는 의왕 및 양산의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부산진CY(Container Yard) 등 5개 물류거점에 RFID 기반 물류거점정보시스템을 적용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는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물류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라며 “RFID기반 물류거점정보 시스템을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와 연계해 정보의 효용성을 더욱 높이는 등 물류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물류정보망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