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4일 “한미 FTA는 일자리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양국 일자리를 늘리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토마스 도나휴 미 상공회의소 회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김은혜 청와대 부대변인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서로 대화를 많이 하면 (FTA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 자동차 지원과정을 지켜봤는데 GM이나 크라이슬러 등 미국 자동차 회사가 살아나는 것이 오히려 한국 경기에 또 한국 자동차 업계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앞으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같은 저탄소 자동차 기술 개발에 한국과 미국이 협력하면 상당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적극적으로 그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도나휴 회장은 이와 관련 “한미 FTA는 반드시 비준돼야 하며 그렇게 될 것”이라며 “한미 FTA는 미국정부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협상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도나휴 회장은 또 “한미관계를 위해서도 그렇고 다른 나라들에도 모델이 될 수 있다”며 “미 의회와 재계에 지속적으로 비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경제가 어려워지면 어느 나라든 보호무역주의로 회귀하고 싶은 유혹을 받는데 이는 오히려 세계 경제의 후퇴를 가져올 것”이라며 “오는 4월 G-20회의에서 미국이 자유무역주의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성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오바마 행정부가 앞장서 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나휴 회장도 “지난해 11월 G-20 회의에서 한국 등이 보호무역주의에 제동을 걸어 논의의 방향을 튼 것은 매우 잘 된 일”이라며 “1920년대 대공황 때 가장 큰 실수는 보호주의를 채택한 것이라는 점을 미 의회와 재계에 주지시키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이 대통령의 최근 언급과 정책에 주목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