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귀성 25일 오전, 귀경 26일 오후 가장 혼잡
설 귀성 25일 오전, 귀경 26일 오후 가장 혼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부〉서해안〉중부〉호남선 순 몰릴 듯

설 연휴 기간(1월23~28일)에는 설 이후 연휴가 짧아 귀성보다 귀경길이 더 혼잡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귀성길은 25일 오전, 귀경길은 26일 오후 가장 혼잡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국토해양부는 15일 밝혔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오는 1월23~28일까지 6일간을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국민들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길이 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합동으로 대책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설 연휴 인구이동 및 교통예측에 따르면, 특별교통대책기간(6일간)중 총 2812만명(5792만 통행), 1일 평균 467만명(965만 통행인)이 이동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1일 평균 934만 통행인)에 비해 3.3%, 평시(1일 평균 508만 통행인)보다 90.2% 증가한 것이다.


연휴기간 중 전국 고속도로 이용차량은 총 2043만 여대(일평균 340만대)로 작년 설 대비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속도로별로는 경부선이 33.8%, 서해안선 12.9%, 중부선 11.7%, 호남선 9.4% 순이었다.

또 승용차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주요 도시간 최대소요시간은 귀성시 서울에서 대전까지 4시간, 부산은 7시간40분 , 광주 7시간, 목포(서서울에서 출발) 7시간1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며, 귀경길에는 대전서 서울까지 6시간30분, 부산서 9시간20분, 광주서 8시간30분, 목포에서는(서서울까지) 8시간 5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6인 이상 탑승한 9인승이상 승합·승용차는 운행소요시간이 승용차보다 1~2시간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정부는 철도와 버스(고속·전세·시외) 등 대중교통과 항공기, 연안여객선의 수송능력을 최대한 높일 계획이다.


고속도로의 경우 1월24일 오전부터 1월27일 자정까지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단~신탄진1C(141km)구간 상·하행선에서 6인 이상 탑승한 9인승이상 승용·승합차만 진입을 허용하는 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키로 했다.

또 고속·시외버스의 출발·도착이 원활하도록 남부시외버스터미널~서초IC 구간(0.5km) 양방향과 사평로 삼호가든사거리~반포IC 구간(0.6km) 양방향에서 임시 버스전용차로제를 시행한다.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본선구간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을 조절하기 위해 귀성방향으로는 1월23일 오전 10시부터 25일 밤 10시까지, 귀경방향은 26일 오전 10시부터 27일 자정까지 영업소 진입차로수를 축소(1~2개) 운영한다.

아울러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영동선 신갈분기점의 강릉→서울 연결로 확장구간 등 4개소 부분을 조기 개통하고, 국도는 37호선 두포~천천, 32호선 합덕~신례원1 등 20개 구간 155.34km를 준공 개통키로 했다. 국도 3호선 장암~자금, 19호선 보은~내북 등 13개소 67.4km은 임시로 개통해 교통혼잡을 최소화키로 했다.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임시화장실을 작년보다 300여칸 정도 많은 1009칸을 신증설하고, 자동차 무상점검서비스 85곳도 운영할 계획이다.

교통량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KBS, MBC, SBS등 공중파방송 TV자막을 통해 전국 주요 고속도로의 실시간 소통상황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인터넷교통방송을 활용해 주요 우회도로, 최적 출발시기 및 이동경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귀성·귀경객들이 도로교통 소통상황과 고속버스, 철도이용, 기상 등에 관한 정보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21일부터 28일까지 국토부 홈페이지에 종합적인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팝업창을 띄워놓을 계획이다.

이밖에 고속도로 교통사고시 신속한 인명구조와 사고처리를 위해 119구급대(112개소) 및 구난 견인차량업체(294개)와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하고 구난 견인차량 960대를 배치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