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25일 신사임당 초상이 들어간 5만 원권 도안을 일반에 첫 공개했다. 5만 원권 지폐는 오는 6월 발행될 예정이다.
도안소재는 도안인물의 여성·문화예술인으로서의 상징성을 감안해 앞면에 신사임당 작품을, 뒷면에는 조선 중기의 문화예술 작품을 사용했다.
앞면에는 신사임당 초상과 함께 신사임당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묵포도도’와 ‘초충도수병(보물 595호)’ 가운데 가지 그림이 삽입됐다. 바탕 그림은 왼쪽에 난초와 기하학 무늬가, 오른쪽에는 고구려 고분벽화 무늬가 각각 배치됐다.
신사임당 영정은 표준 영정을 바탕으로 삼고 신사임당 생존 당시의 두발과 복식 등에 관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새로 제작됐다.
뒷면 도안소재는 조선 중기의 화가인 어몽룡의 ‘월매도’와 이정의 ‘풍죽도’를 사용해 세로로 디자인하고 바탕은 바람 무늬를 이용했다.
5만 원권 크기는 가로 154㎜, 세로 68㎜로 새 1만 원권보다 가로는 6㎜가 크고, 세로는 동일하다. 화폐 색상은 황색 계열을 사용해 녹색 계열인 1만 원권과 차별화했다.
5만 원권에는 16가지의 위조방지장치가 사용됐다. 일반인들이 위조 여부를 구분할 수 있게 띠형 홀로그램과 입체형 부분노출은선이 새로 적용됐으며 색변환 잉크와 요판잠상 등의 기능이 강화됐다.
띠형 홀로그램은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태극, 우리나라 지도, 4괘의 무늬가 상·중·하 3곳에 각각 배치돼 있고 무늬 사이에는 ‘50000’이라는 숫자가 들어가 있다.
입체형 부분노출은선은 청회색 특수필름 띠에 사방 연속으로 새겨진 여러 개의 태극무늬가 은행권을 상하로 움직이면 좌우로, 은행권을 좌우로 움직이면 상하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