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세계기록유산 등재 쾌거
동의보감 세계기록유산 등재 쾌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총 7건 보유

‘동의보감(東醫寶鑑)’이 한국의 7번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30일(현지시간) 유네스코가 유네스코 사무국 마쓰우라 사무총장이 중앙아메리카 바베이도스 수도 브리지타운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의 권고를 받아들여 동의보감 초간본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승인했다고 말했다.

이로써 한국은 1997년의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두 건을 시작으로 2001년의 직지심체요절과 승정원일기, 2007년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조선왕조의궤와 함께 총 7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등재 수량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아시아에서 첫 번째,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많아 문화선진국으로서의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문화재청은 말했다.

이번에 등재가 결정된 동의보감 판본은 1613년(광해군 5년), 편찬 총책임자인 허준 자신이 직접 간행에 관여해 나온 초판 완질 어제본(御製本)으로, 국립중앙도서관(25권 25책.보물 제1085호)과 한국학중앙연구원(25권 25책/보물 제1085-2호) 소장본이다.

문화재청은 “유네스코가 동의보감이 가지는 역사적 진정성, 세계사적 중요성, 독창성, 기록정보의 중요성, 관련 인물의 업적 및 문화적 영향력 등을 인정한 것”이라고 전했다.

문화재청으로부터 보물로 지정된 동의보감은 17세기 초, 의성 허준(1539~1615년)이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됐으며, 동아시아 의학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전통의학의 결정판으로 우리 시대의 위대한 기록유산이자, 미래의 귀중한 의학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세계기록유산 분야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임과 동시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