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끝나지않은 아픔
잊혀진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끝나지않은 아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발굴 독립유공자" 발굴 정부가 적극 나서야

또다시 맞이하는 8월!. 올해로 64주년 광복절을 맞이했다. 그러나 진정한 민족해방은 어떤것을 의미 할까?
친일 반민족에 앞장선 무리들의 후손들이 애국선열들로부터 착취한 재산을 가지고 소송을 진행중이거나 호의호식하고 있는가운데 아직도 일제에 맞서 싸운 독립투사들과 함께 애국지사들의 후손들까지도 끝나지 않은 아픔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민족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민족의 암흑기에 목숨 바친 선열들의 공과 업적을 기리는 일은 국가의 기본이며 애국하자는 구호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아직까지도 잘알려지지 않은 일제에 항거한 수많은 애국지사들을 찾아내고 그 유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어루만져야 할 의무가 바로 우리들과 정부에 있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지난달 국가보훈처(장관 김양)는 전국 15세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2009년도「국민보훈의식지수」를 조사해 발표한 바 있다.조사 결과에 따르면,「국민보훈의식 지수」는 2008년(61.5점)에 비해 2.5점이 상승한 64점,“독립운동가 등 보훈대상자의 국가 발전 기여도를 평가하는 점수는 85.5점”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국민들이 구호로 하는 보훈의식 보다는 독립운동가등의 국가발전에 기여한 기여도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 (위)항일학생운동.(아래)정명여자중고의 항일퍼포먼스
이어 “국가가 경제 또는 안보 등 어려움에 처했을 때, 위기극복을 위해 동참하겠느냐“는 질문에 15세에서 19세까지 청소년층의 경우 72.3점, 20대 젊은이들은 전년대비 73.9점으로 나타나 전년도에 비해 약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지만,청소년층에 대한 ‘자발적 병역 의무 이행’의 응답 지수는 2007년 81.9점, 지난해 80.1점, 올해 79.5점으로 해마다 떨어져 10대들 사이에서 ‘병역 의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이유는 신세대 청소년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치,사회적인 지도층의 부정부패와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왜곡된 사회 현상이 청소년들의 애국심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최근 군.경과 공무원 가운데 전투나 공무수행과 관련없는 사유로 최근 3년간 국가유공자로 등록한 사람 가운데 11.2%, 4천300여 명이 체육 활동으로 부상당한 것으로 조사됐고, 질병과 영내생활 중 부상, 출퇴근 중 부상 등을 모두 합치면 최근 3년간 43%가 참전이나 전투, 공무수행 등으로 인한 신체적 희생 없이 유공자로 등록된 셈이다.

또한, 국가유공자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보훈처 직원 중 지난해 공상공무원으로 등록된 전.현직 직원 92명 가운데 재심사를 벌여 이 가운데 24명에게서 국가유공자 지위를 박탈하고 5명은 유공자에서 지원대상자로 격하했다.

국가보훈처 직원 2급,4급,5급등 보훈처의 고위 직원들중 유공자 지위 박탈자들은 회식 후 무단횡단 중 교통사고, 동호인회 산행 중 부상, 출장 스트레스, 사무실 집기 정리 중 허리 부상 등 공무와 연관성이 없는 질병으로 유공자 자격을 취득했던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렇듯 보훈처직원들이 자기 스스로를 가짜 보훈대상자 만들기에 힘쓰고, 일제에 협조했던 매국노들의 자손들이 그 매국노들을 국가유공자인양 꾸며가고 있는 사이 일제강점기 일제에 항거하여 조국의 독립과 광복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고 희생한 진정한 유공자와 그 후손들은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 "독립유공자의 후손인 우리는 왜 외면당하고 있는가?"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에서는 제4조의 적용 대상자중 "애국지사"를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하여 일제에 항거한 사실이 있는 자로서, 그 공로로 건국훈장·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은 자"로 명시해 놓고 있다.

따라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하여 일제에 항거한 사실이 있는 자"는 애국지사로써 의 대상이 되는지 심사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보훈심사위원회가 너무 바쁜탓일까?
보훈처에서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수형인 명부나 당시의 재판 서류 등 무리한 상세자료를 요구하고 있다. 자손들이 자력으로 찾을 수 있는 자료는 그저 전해 오는 말이거나 호적에 형무소 수형 기록이 있는 것이 전부다.

일제 땐 독립운동가 가족이란 이유로 모진 박해에 시달렸던 자손들은 해방 이후 상당수가 배움의 길에서 멀어졌고, 오늘날 가난 때문에 먹고사는 일에 매달려야 하는 형편이다 보니 대개는 선조의 명예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여유가 없다.

일부 자손들이 관련 자료 발굴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많은 자료들이 소실 또는 소각처리돼 찾기가 매우 어렵다고 후손들은 말하고 있다.
독립운동 관련 문서는 역사적 문서로 반영구적인 보존서류임에도 그 중요성이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제는 독립유공자 가족이나 후손이 아니라 정부가 앞장서 국내외에 흩어진 관련 자료 발굴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진정한 의미의 민족의 광복절이 되려면, 친일역사 청산과 잊혀져가는 독립유공자 발굴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국가보훈은 대한민국의 과거,현재,미래입니다"라는 보훈처의 외침이 국민의 가슴속에 진정한 애국심으로 뿌리내려 가도록 해야 하는것이 국가보훈처의 과제이며 임무일 것이다.

◆ 제주 항일인사 부기준씨 가족의 애타는 사연-독립유공자 서훈 신청 수년째 보류. 관련자료 있지만 '실형 안받았다?'
제주도의 한 항일인사(부기준씨)의 활동내역이 제주보훈청 서고에 보관중인 책자에 버젓이 기록돼 있음에도 독립유공자 서훈신청이 수년째 거절당하고 있어 유족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부기준씨의 유족들은 2007년부터 국가보훈처를 상대로 밀고당기는 게임을 하고 있다.부씨의 외손녀인 이순량(52세)씨는 외할아버지인 부기준(1911~1946·제주시 북촌)씨의 서훈 신청을 놓고 유족들은 관련 자료(제주항일독립운동 참가자 및 판결문 목록, 독립운동사9권, 제주항일인사실기 등)와 신문 보도내용을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만 보훈처는 심사보류 판단을 하고 있다고 때문이다.

▲ 외조부의 독립운동을 설명하는 항일인사 부기준씨의 외손녀인 이순량씨
"제주항일인사실기"에 따르면 1911년 제주도 북제주군 조쳔면 북촌리 603번지에서 출생하여 서울 배재고보 4학년에 재학중이던 부기준씨는 학생 전위동맹(독립유공자 공훈록6)의 간부로 격렬하게 항일운동을 전개하다가 1929년 11월3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고그와 연계해 서울에서의 12월항쟁과 1930년1월 궐기, 격문 살포등 항일투쟁을 벌이다가 1930년 당시4학년신분으로 퇴학을 당했다.(독립운동사 제9권에 배재고보 퇴학자명단 확인. 동아일보 1930년 4월5일자 퇴학자명단)

그후 종로서에서 지명수배가 내려졌고 일본으로 피신해 공부하던 청년 부기준은 1930년 5월7일 일본의 히로시마현 구레시의 한 중학교에 재학 중 일본헌병대에 체포돼 한국으로 압송된다.

1930년 5월13일자 조선일보에는 『학생전위동맹 간부 일본 광도에서 잡혀왔다. 학생 소요사건의 중심인물이라 하여 일찍이 경성 종로경찰서로 부터 각처에 수배를 하였던 조선학생 전위동맹 간부 부기준(21세, 부병준의 제)은 그간 광도현 오시에서 어떤 중학교에 입학하여 공부를 하고 있다가 지난 7일 오시 현병대원에 의해 체포 되었다는데 이 통보를 접한 종로경찰서 에서는 매야, 이, 두형사가 지급히 오시로 출장하여 부기준을 데리고 지난 5월 11일밤 돌아와서 방금 부기준을 종로경찰서에 유치하고 취조를 개시 하였다 한다』고 당시 상황을 상세히 전하고 있다.

서울로 압송된 부기준은 종로서에서 취조가 시작됐고 4개월여후인 1930년9월13일 경성지방법원 예심결정(제주 항일 독립운동 참가자및 판결문목록 P43확인)에서 면소판결을 받았으나 바로 풀려나지 않았고(일제강점기의 시대적상황이라 추정) 이듬해인 1931년8월24일 풀려나기까지(조선일보 1931년 8월24일자) 1년3개월간의 모진 취조와 감옥생활 끝에 낙향한 뒤에도 항일인사에 대한 미행과 구인등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고문 후유증으로 병을얻어 해방직후인 46년. 35세라는 젊은나이에 타계했다.(제주항일인사 실기)

◆ 이순량씨, 외조부 명예회복 고군분투 "어머니 살아 계실때 꼭 소원 풀어드리고 싶다"
한점혈육이었던 부기준의 어린딸(부정자.72세)은 9살이라는 홀로되어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어려운 생활고에 시달리고, 갖은 고생으로 평생을 살아왔지만 어릴때부터 들어온 아버지에 대한(독립운동) 자부심 하나로 위로와 위안을 삼으며 하루하루 힘겨운 삶은 버텨왔다.

성인이 되고난 후 뒤늦게 아버지의 행적을 찾아 나섰지만 제대로 배우지 못한데다 도와주는 사람이 없었고,시골의 촌로가 관련 자료를 찾아낸다는것은 너무나도 어려운 일이었다. 결국, 아버지에 대한 관련자료는 찾지 못했고 평생의 회한과 한으로 남게됐다.

그러던중 부기준의 외손녀인 부정자씨의 딸(이순량.52)이 30년 만에 서울에서 고향 제주로 돌아와 살기 시작하면서 백방으로 뛰어다닌 끝에 관련 자료를 어렵사리 찾아냈고 3년전에 보훈처에 서훈신청을 하게되지만 이 또한 한계에 부딪치고 만다.
보훈처에서는 "국가기록원에 판결문목록이 남아있지않고 적극적인 항일운동을 했다는 증거가 미약하다"는 이유로 부기준에 대한 서훈신청을 보류한다. 60년이 넘는 세월의 아픈가슴은 더 큰 실망과 안타까움으로 상심에찬 세월을 또 안겨준다.

유족들은 부씨의 항일운동에 대한 근거가 자료에 명시된 것처럼 명확하고, 학생전위동맹의 간부로서 항일운동을 했으며, 학생신분으로 퇴학을 당하였으니 그이상의 중징계는 없으리라보며 퇴학후에도 지명수배가 내려졌다는점과 실형을 살지는 않았지만, 15개월간 구류와 모진고문을 당했고 그것은 엄연한 적극적인 활동증거이고, 풀려난 이후에도 일본경찰의 감시와 구인등을 당했기 때문에 독립유공자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부기준에 대한 서훈신청은 받아들여져야 하며, 그렇게 하는것이 나라를위해 청춘을 바쳤던 독립유공자들에 대한 예우라는 것이다.

하지만 보훈처의 생각은 다른것 같다. '실형을 살지 않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활동증거가 부족하다'며 잇따라 서훈 심사를 보류하고 있다.

▲ 제주항일기념관
특히 '실형은 아니더라도 지속적으로 취조를 당했고 옥고를 치르면서 고충을 겪어왔다'는 유족들의 주장에 대해 보훈처는 "명시화된 재판기록이 없기 때문에 항일운동으로 붙잡혀왔는지 확인할 수 없다"고 말해 유족들을 두번 울리고 있다.

이씨는 "더이상 얼마나 더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야 하는지 너무 힘들다"며 "지금까지 자료를 찾는데도 힘들었지만, 몸바쳐 희생하신 분을 그에 걸맞게 대우는 못해줄망정 오히려 명예를 퇴색시키는 보훈처의 태도에 힘이 빠진다"고 토로했다.

부기준씨의 외손녀인 이씨는 "어머니의 마지막 소원은 독립운동을 한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는 것"이라며 "꼭 어머니의 소원을 풀어드리고 싶은 마음뿐"이라고 말했다.

◆ 학생전위동맹 [學生前衛同盟]
1926년에 조직된 학생혁명당(學生革命黨)의 후신이다. 학생 비밀결사로서 1929년 3월 학생전위동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경성고학당(京城苦學堂) 학생 5명이 주축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같은 달 7일 권유근(權遺根)·부건(夫鍵) 등을 광주로 파견하여 강영석(姜永錫)·장석천(張錫天) 등과 함께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대책을 협의하였다.

이 협의에서는 체포된 학생의 석방을 결의하는 한편, 서울의 각 중등학교를 움직여 시위운동을 벌이고 나아가 이 운동을 전국으로 확대함으로써 조선의 독립을 쟁취하기로 뜻을 모았다.
11월 12일 제2차 시위운동 후 강영석·장석천 등은 일본 경찰을 피해 서울로 올라와 곽양훈(郭良勳)·권유근·차재정(車載貞) 등과 함께 서울 거사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리 하여 11월 중순부터 8,000여 장의 격문을 경성여자상업학교·동덕여학교·중동학교·중앙고등보통학교 등 서울 각지의 학교에 뿌리고, 권유근·정종근(鄭鍾根) 등은 이와 별도로 1,800여 장의 격문을 인쇄하여 경신학교 등에 뿌렸다.

일본 경찰은 이들을 검거하기 위해 근우회(槿友會)를 비롯한 각 사상단체 및 청년단체의 간부와 학생들을 체포했는데, 이른바 학생전위동맹사건으로 불리는 이 사건은 광주학생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서울 각 학교에 격문을 뿌리면서 동맹휴학 시위운동을 이끌어내는 등 학생 항일운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언제 해산되었는지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으나, 1930년 5월 무렵에 주요 간부들이 검거되면서 해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