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추석 연휴를 맞아 유행성 눈병, 콜레라 등 전염병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연휴기간 중 전염병 환자의 신속한 조치와 해외여행 후 감염자 발견 및 추적관리를 위해 전국 보건기관의 하절기 비상연락체계를 추석 연휴기간까지 유지한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17일 현재 총 193건, 5859명 집단 설사 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에 추석 때 차례 음식을 공동으로 섭취하는 등으로 인해 설사 환자가 집단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콜레라의 경우 지난 2001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1980년대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건은 모두 9월에 발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바닷물 온도가 18℃ 이하로 내려가기 전에는 콜레라 환자 발생 요인이 남아있다”며 “콜레라를 예방하려면 각종 어패류 등을 날것으로 먹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해외여행 후 수인성전염병이나 모기를 매개로 한 전염병 환자가 꾸준이 발생하고 있다”며 “전세계적으로 신종플루가 유행하고 있어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을 더욱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아폴로 눈병) 등 유행성 눈병이 지난해보다 줄어드는 추세지만 추석 명절 사람 간 접촉으로 다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연휴 기간 중 전국 보건소 253곳에서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전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질병 정보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전국 검역소에서는 해외여행객 가운데 전염병 의심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하기 위해 전염병 유행국가로부터 입국자에 대한 설사환자감시 및 검역질문서 등 검역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